338page

< 註解】 @ 여죠(麗朝 ) “고려(·뭘麗) 죠처。 @ 샤 n 채,( 도·宰) “좌창찬(·左쫓贊)의 영-치。。 휠 T 列에 값相 다음이랴」 뜻 。 @ 은샤휴잉(銀’버君) “은샤‘。 - ‘ 멀양의 옛이홈이며 윤(君)은 봉칸(封君)으로‘서 조션왕조때 엄픔의 적자흘 대규-(大君) 。 τ-- ‘ 후궁의 , 와。차 , 이 d 픔의 자。이」 또는 이풍(--σ 며)이‘상의 종치) 휴‘신(勳폼) 등을 4. ‘。-로 봉했다。 @ * R d 숙($蕭) ”소。은션새。의 시 , 호이、닥。 事君盡節티·었 이d 픔을 셔 D 져, 캘개흘 다한 것을 층이랴 하고 剛 f 께能莊티蕭 야。직하며」써 , 도 능허 썩썩하 r ‘ ‘것을 숙이랴 j 얀다。 @ 천차, ( £資) ”천풍(£棄)、 랴고난 셔。풍。 @ 숙씨(’겠 κ) ”나 n이「 형셰에 대한 존치。의 하냐、 남의 세째형이냐 세째아。 T 흘 얼캠쓴 말효 형셰 , 까 요인이상얼 째 는 첫때 숙씨 플째 숙씨랴함。 @ 쥬여 O 계(周灌홉) ”끓은 周마씨요 譯느」 敎願요 추느」 행淑이요 灌@종느」 號이‘다。 ‘宋代샤‘라 0으효 大뿔 ‘ 春。 A 、 程明펄 伊 씨 의 스스。이다。 @ 종샤(‘宗師) “모든 샤람들이 존숭하는 스승 @ xT 자대션(朱子大全) “써 , 책의 영치。、 쥬착까 계 , 딸한 요든 학윤이 슈록되어 았으 n 。 @ 셔。학 도(뿔웰圖) n 원아。촌(權陽村)의 엽학도설(λ 웰圖說)。 -E ‘말하 n 。 。 π 학을 체계화한 -설(說)로 유명했다고 함。 @션조(앓햄) ”조션왕죠때 윤뮤백관을 저앓。(앓衛)하는 홍옳화 兵빼 R 펴 로。치。 @제슈(除웠) “합職을 쥬느 L 얼 (웹흉료 뷰터 훌 · 中융 망지 않고 이 d 픔이 직접 엄며3하는 것) @경샤(經뾰) “경꺼 . ,(經홈)와 샤가(엇·품) @、사혹(뾰據) ” 벼슬아치까 땅은 노「몽(즉 공유원이 망은 봉응) @쥬슈(珠樹) ”‘자손을 말항이다。 @상봉(商鳳) ”‘샤。산샤,호(‘商내맥랩)에 비유하여 봉비 , 천리랴」 ‘말이다。 @백야。(伯康) ”배「야 g- ‘ 사마온고。의 형인데 형셰간에 유애까 애。 T 듀터웠다 。 백강의 냐이까 활성이되니 그 행을 아 버 , 지와 장이 땅도걷고 그흘 표호하기흘 어리‘ 、야 , 이 , 와 갇이 했다。 @요」셰(本第) ”고향에 있는 본집 新逢훌 한짜 등훌 三 O 七 下 卷
338page

【註解】 ① 여조(麗朝):고려(高麗) 조정 ② 삼재(三宰):좌참찬(左參贊)의 별칭. 宰列에 貳相 다음이란 뜻. ③ 은산군(銀山君) : 은산은 밀양의 옛이름이며 군(君)은 봉군(封君)으로서 조선왕조때 임금의 적자를 대군(大君)으로 후궁의 왕자 임금의 장인 또는 이품(二品)이상의 종친 훈신(動臣) 등을 군으로 봉했다. ④ 충숙(忠肅) : 송은선생의 시호이다. 事君盡節曰忠 임금을 섬겨 절개를 다한 것을 충이라 하고 剛而能莊曰肅 강직하면서도 능히 씩씩한 것을 숙이라 한다. ⑤ 천자(天資) : 천품(天稟), 타고난 성품. ⑥ 숙씨(叔氏) : 남의 형제에 대한 존칭의 하나, 남의 세째형이나 세째아우를 일컫는 말로 형제가 오인이상일 때는 첫째 숙씨 둘째 숙씨라함. ⑦ 주염계(周濂溪) : 姓은 周氏요 諱는 敦頤요 字는 茂淑이요 濂溪는 號이다. 宋代사람으로 大學者요, 程明道 伊川의 스승이다. ⑧ 종사(宗師) : 모든 사람들이 존숭하는 스승 ⑨ 주자대전(朱子大全) : 서책의 명칭, 주자가 계발한 모든 학문이 수록되어 있음. ⑩ 성학도(聖學圓) : 권양촌(權陽村)의 입학도설(入學圓說)을 말함. 유학을 체계화한 설(說)로 유명했다고 함. ⑪ 전조(銓曹) : 조선왕조때 문무백관을 전형(銓衡)하는 吏曹와 丘曹의 통칭 ⑫ 제수(除授) : 官職을 주는 일 (部署로부터 稟申을 받지 않고 임금이 직접 임명하는 것) ⑬ 경사(經史) : 경서(經書)와 사기(史記) ⑭ 사록(史祿) : 벼슬아치가 받은 녹봉(즉 공무원이 받은 봉급) ⑮ 주수(珠樹) : 자손을 말함이다. ⑯ 상봉(商鳳) : 상산사호(商山四皓)에 비유하여 봉비천리란 말이다. ⑰ 백강(伯康) : 백강은 사마온공의 형인데 형제간에 우애가 매우 두터웠다. 백강의 나이가 팔십이 되니 그 형을 아버지와 같이 받들고 그를 보호하기를 어린 아이와 같이 했다. ⑱ 본제(本第) : 고향에 있는 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