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page
2) 성남의 열악했던 문화 시설  분당구는 서현동 시범 단지가 완공된 1990년대 초에 주민들의 입주가 시작되었  다 공동체 형성에 걸리는기간을고려했을 때 지역 문화운동이 활발했던 1980년대  와 1990년대에는 거의 결합하지 못했다. 그래서 분당구는 전체적으로 다룰 대상에  서 제외할수밖에 없었다.  수정구와중원구의 경우에도 1970년대는다루지 못했는데 분당구와 마찬가지 이  유이다. 공동체를 형성해야 비로소 지역 단위 운동을 얘기할 수 있는데 그 조건이  미흡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광주대단지가 상징하는 것은 가난이었다. 1980년대 서울시와 성남시의 경계 지  점, 현재의 분당선 전철 복정역 인근에는 거대한 인력 시장이 있었다. 새벽에 약  500명 정도가 운집했다. 전국 최대 규모 인력 시장이었다. 매일 일거리를 구해야 하  는형편의사람들이많았다.  당시 성남시  인구는  40만  명에  이르렀지만  영화 개봉관이  두  군데뿐이었다.  중앙  극장과 성남극장, 이외에 문화 공간이라 이를 만한 데는 없었다. 다방이 많기는 했  다.  설업자와  일용직  노동지들이 시간을  때우는 공간이  다방이었다. 그런데 다방보  다더많은건교회였다 대부분소규모였는데,교회에가면사람을사뀔수있었다.  티관객지이면서 다들 어렵게 사는 형편에 믿고 의지할수 있는사람의 존재는 매  우소중했다.즉교회는공동체를형성하는공간이었다.  성남의 경제적 궁핍으로 인해 제대로 공부할수 있는학교나 시설도 많지 않았다.  문화운동 1세대들은 대학 전공 학괴를 이수하지 못했다. 1986년 1집 음반 「노래마  을사람들」로 시작한 단체 ‘노래마을’ 은 작곡가 백창우와 통기타 가수 고故 권오원  이 의기투합해 결성했다. 두 사람 공히 음악대학에 적을 둔 적은 없었다. 백창우는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음대는 무슨! …--- 니는 개인적으로 중학교 때부터 직곡하기 시작했어. 선생님이 따로 있  었던것은아니었고하니까되더라구.  제2편-공정사회를위한실천,시민사회 활동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