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page
강원도 DMZ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12 - 따른 상호적대의식, 불신 등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2005년도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DMZ 관광 및 병영체험 관광상품 개 발관련 언론보도에 대해 북한은 강한 반대의사를 표명하면서 남북 사이의 반목과 불 신을 조장하는 ‘땅굴관광’ 을 무조건 걷어치우라는 경고가 있었다.14) 그 결과 한국관 광공사와 육군본부가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병영체험 상품판매는 무산되었 다.15) 따라서 안보관광이라는 용어가 시대적 흐름에 부적절하다는 것이 지적됨에 따 라 DMZ 관광 또는 DMZ 평화관광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북한과의 공동개발 또는 협력개발을 통한 한시적 자원인 DMZ를 보존하는 동시에 관광자원을 활용하는 방안 이 제시되고 있다. 1.4.2. DMZ 관광 냉전시대까지 안보개념은 주권국가의 영토를 보존하기 위해서 군사력을 사용하는 것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졌으나 1990년대 초 냉전이 종식되면서 국제사회의 안보환 경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특히 안보의 주요쟁점이 군사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경제적 인 문제로까지 확대되었으며, 더 나아가 자원, 환경, 생태, 사회문제 등 간접적이며 장 기적인 모든 비군사적인 요소들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변화했다.16) 관광의 특성면에서 살펴보면 안보관광은 폐쇄적이고 통제적이며 반자율적인 성격을 갖는 반면에, DMZ 관광은 개방적이고 대중적이며 개인적이면서 자유스러운 즐거움을 요구한다. 즉, 안보관광은 집단 구성원의 안보 의식을 강화․고취시키는 수단으로써 관광상품의 속성인 자발성, 대중성, 대량성을 이용하는 반면, DMZ 관광은 안보적 속 성인 비밀성, 통제성에 의해 조성된 유․무형의 문화․사회․생태자원을 관광상품화 하여 관광객의 관광욕구를 충족시킨다고 할 수 있다.17) 관광경험적인 측면에서 보면 DMZ 관광은 DMZ가 간직하고 있는 역사성, 사람과 자연의 조화를 관람할 수 있으며, 절차상의 편의성, 자율성을 다소 희생하는 대신 신 기성, 희소성, 제한성을 가진 DMZ의 매력도 높은 통제자원에 대한 이해 및 통제된 상 14) 도민일보(2005. 9. 25) 15) 도민일보(2005. 11. 07) 16) 전 웅(1997), 국가 안보와 비국가안보의 상관관계,「국방정치논총」37(2), pp.229~262. 17) 최동규(2004), 비무장지대 안보관광자원의 지속적인 관광화 방안,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