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page


3page

여기 세우는 이 비는 무릇 종교가 본연의 역활을 저버리고 권세를 등에 업었을때 그 폐단이 어떠한가를 보여주는 교훈적 표석이 될것이다. 1899년 제주에서 포교를 시작한 천주교는 당시 국제적 세력이 우세했던 프랑스 신부들에 의해 이루어지면서 그때까지 민간신앙에 의지해 살아왔던 도민의 정서를 무시한데다 봉세관과 심지어 무뢰배들까지 합세하여 그 폐단이 심하였다. 신당의 신목을 베어내고 제사를 금했으며 심지어 사형(私刑)을 멋대로 하여 성소경내에서 사람이 죽는 사건까지 일어났다. 이에 대정고을을 중심으로 일어난 도민 세력인 상무회는 이같은 상황을 진정하기위하여 성내로 가던중 지금의 한림읍인 명월진에서 주장인 오대현이 천주교측에 체포됨으로 그 뜻마저 좌절되고 만다. 이에 분기한 이재수 강우백등은 2진으로 나누어 섬을 돌며 민병을 규합하고 교도들을 붙잡으니 민란으로 치닫게 된 경위가 이러했다. 규합한 민병 수천명이 제주시 외곽 홍사평에 집결하여 수차례 접전끝에 제주성을 함락하니 1901년 5월 28일의 일이었다. 이미 입은 피해와 억울함으로 분노한 민병들은 관덕정 마당에서 천주교도 수백명을 살상하니 무리한 포교가 빚은 큰 비극이었다. 천주교측의 제보로 프랑스의 함대가 출동하였으며 조선 조정에서도 찰리형사 황자연이 이끄는 부대가 진입해와 난은 집압되고 세 장두는 붙잡혀 서울로 압송되어 재판 과정을 거친후에 처형되었다. 장두들은 끝까지 의연하여 제주 남아의 기개를 보였으며 그들의 시신은 서울 청파동 만리재에 묻었다고 전해오나 거두지 못하였다. 대정은 본시 의기 남아의 고장으로 조선 후기 이 곳은 민중봉기의 진원지가 되어왔는데, 1801년 황사영의 백서사건으로 그의 아내 정란주가 유배되어 온 후 딱 100년만에 일어난 이재수난은 후세에 암시하는 바가 자못 크다. 1961년 신축에 향민들이 정성을 모아 "제주 대정군 3의사비"를 대정고을 홍살문거리에 세웠던것이 도로 확장등 사정으로 옮겨다니며 마모되고 초라하여 이제 여기 대정고을 청년들이 새 단장으로 비를 세워 후세에 기리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