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page

- 27 - 9호를 가지고 정치와 종교를 분리하는 방법을 연구해 보시오’라고 지시하셨고, 그 후 10 호는 다시 거론되지 않았습니다.” 김계원도 위 김정섭 진술과 비슷한 발언을 했다. “1979.8.10. 10:00경 YH 노무자 200여 명이 신민당 당사에 집결, 계속취업을 요구했 습니다. 배후에는 도시산업선교회가 있었고, 장차 노동계와 종교계가 합세, 강력한 대정 부 투쟁 세력으로 진전할 우려가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수습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8.10.10:00경 청와대 제 사무실에서 김재규, 유혁인 정무1수석, 고건 정무2수석, 김정섭 등이 모여 논의를 했습니다. 중론이 나왔는데 그것은 보사부장관이나 노동청장이 신민당 사에 가서 해명과 시책을 설명하자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김재규는 정부 고위 관리가 신민당사에 가서 사과하는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면 전례가 될 것이다. 금일 중으로 경찰 을 투입해 강제해산을 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여 결국 그날 야간에 경찰을 투입하여 강제해산을 시킨 바 있습니다. 하여간 505명 등 총 1,563명이 연행되었다. 군법회의에 회부된 87명(학생 37명, 일반 인 50명) 중 단순가담자 67명은 소가 취하되었고 20명(학생 7명, 일반인 13명)은 실형을 선고받았다. 일반 검찰에 송치된 31명(학생 26명, 일반인 5)은 전원이 기소가 취하되었고 651명(이 중 208명은 부산 봉기 학생)은 즉결심판에 회부되었다. 군 부대의 주둔으로 인해 시위는 소강 상태로 접어들었다.[18] 그리고 그 팽팽한 긴장이 갑자기 끊어진 것이 위수령 발동 6일 후 일어난 10.26 사건이었다. 이 사건으로 박정희가 김재규한테 살해되 어 그렇게 타도해야 될 대상이 없어져버렸으니 이때 기소된 사람들도 붕 떠버렸고, 결과 적으로 일부는 석방되고 일부는 재판을 거쳐 1982년 전두환 집권 후 사면을 통해 풀려 났다. 전두환-노태우 정권 내내 묻혀 있던 부마항쟁은 민주화 정부가 수립된 후 비로소 부마 항쟁 관련자를 대상으로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가 이루어졌고 일부 관련자들이 민주화 운 동 관련자로 인정받았다. 또한 부산민주공원에서 열린 부마항쟁 기념식에 대통령의 축사 가 전해지기도 했다. 대한민국 제4공화국의 종말을 고하는 계기가 된 사건이자 본격적 민중항쟁의 지평이 다. 10월 유신 체제의 정당성의 근본적인 의문을 던진 사건으로 4.19 혁명 이후 처음으 로 본격적 민중항쟁의 지평을 다시 열었던 사건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런 점에서 부마민주항쟁은 1970년대 반유신 운동의 귀결점이자 총결산이었다. 게다가 단순한 70년 대 반유신운동의 귀결점으로만 머물지 않고, 정권 내부의 갈등을 보다 급속히 자극하여 끝내 10.26 사건을 불러와 박정희 정권이 붕괴하는 단초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