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page


28page

일제강제동원과 재외동포 일제의 조선인 강제동원은 한반도 역사상 최대 규모의 민족 이동과 재외동포 사회형성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대다수 강제동원 피해자가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적지 않은 수의 피해자는 냉혹한 국제정세, 혼란한 국내 사정 등의 이유로 동원지역에 억류되거나 잔류하였다. 초기에는 적성국 국민, 포로, 무국적자, 소수민족 또는 외국인이라는 명목으로 부당한 대우와 차별을 받으며 고통스러운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지 사회에 정착해 뿌리를 내렸고, 탈냉전 이후 한국과의 국교가 정상화됨에 따라 고국방문과 영주귀국 등의 활발한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정부는 재외동포의 법적지위 향상과 권익 보호, 참정권 보장, 교류 활성화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8page

사할린 동포의 우편배달부, '박노학' 사할린의 한인은 언어의 장벽, 외로움과 생활고 등으로 고통의 나날을 보내며 소련이나 북한 국적을 선택하도록 강요당했지만 고국으로 돌아온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1958년 일본인 부인과 함께 일본으로 들어간 한인의 일부가 도쿄에서 화태억류귀환자동맹을 결성해 사할린 동포 귀환 운동을 시작하였다. 박노학 등이 주축이 된 활동가들은 국교가 없던 한국과 소련 사이에 편지왕래를 시작함으로써 절망 가운데 있던 사할린 동포에게 희망이 되었다. 사할린에서 일본의 박노학 회장을 거쳐 한국에 거주하는 가족들에게 전달된 이 서신을 바탕으로 7천여 명의 화태(사할린)억류동포 귀환희망자 명부가 완성되었다. 명부는 한국, 일본, 소련 정부에 제출되어 한인 귀환 협상의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28page

궁금하신 부분에 클릭하시면 자세한 설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