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1page
하였다 이 촬영자료를 실험실에서 영상 처리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따 3.1.1. 남동측벽화(사진 9, 10) 남서단벽 입구에서 남동측벽화를 관찰할 경우 입구에 매화, 바위와 대나무가 묘사된 부분이 보이며, 중심부에는 4명의 사람이 각각 지물을 들고 어디론가 기-는 듯하게 묘 사된 벽화가 보인다. 또한 벽화의 바닥부분은 벽돌을 쌓은 듯한 테두리가 보이며, 벽화 의 상부는 운문양의 테두리를 장식하고 있으나, 벽화가 그려진 강회의 박락 부분이 많 아 원형 손상이 심한 상태이다 남서단벽의 입구에 묘사된 벽화를 적외선으로 촬영한 결과 육안관찰이 어려웠던 하 부의 작은 대나무의 묘사와 바위의 세부 뿔線을 선명히 관찰하게 해주었다 특히 아래 쪽에 그려진 매화니무와 대나무는 흙 오염물로 벽화의 흔적만이 관찰되었으나, 적외선 촬영조사로 원형을 찾을 수 있었다 적외선촬영 조사와 육안관찰 결과 벽화는 바위 위 에 4곳에 작은 대나무를 그리고 3그루의 작은 매화나무를 북쪽으로 향하여 그려졌다. 안쪽의 벽화(풍속화)는 촬영거리가 멀어 정확한 조사를 실시하지 못하였다. 3.1.2. 북서측벽화(사진 11-14) 남서단벽 입구의 북서측벽화도 남동측벽화와 같은 유형의 벽화가 보이고 있다. 석실 남쪽 입구에 있는 벽화는 지하수의 흐름으로 황토의 오염물이 덮여 있어, 육안관찰로 벽화의 원형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이었다 안쪽의 4사람이 묘사된 벽화가 육안 관찰 로 선명히 확인이 되고 있는 상태나, 벽화의 바탕인 강회가 석재에서 탈딱된 손상으로 정확한 원형 확인이 어려운 부분이 많이 보이고 있다 적외선촬영 조사결과는 석실 남쪽입구의 지하수 유입으로 육안관찰이 어려운 벽화 의 세부 묘사 상태를 선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같은 위치의 동쪽 벽화와 비슷한 작은 대나무, 바위 및 매화나무의 E훌線을 관찰하게 해주었다. 또한 안쪽 4사람이 그려 진 벽화도 적외선촬영결과 그림의 세부 묵선을 육안관찰보다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 었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벽화의 보이지 않는 부분의 세부 묘사작엽을 위해 이용할 수 있도록 발굴 담당자에게 디지털화하여 제공하였다 2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