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page
1938년 10월 중국 우한에서 조선의용대 창립 1941년 7월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재편, 조선의용군으로 발전 중국 화북지역 활동, 유격구·항일근거지 굳혀 일부 한국광복군 합류로 임시정부 위상 높아져 중국 국민정부, 장기항전 전략으로 조선의용대 지원 조선의용군, 해방 후 중국동북 진출 큰 활약 중일전쟁이 한창이던 1938년 10월 10일 중국 호북성(湖北省) 우한(武漢)에서 결성된 조선의용대는 약 3년 8개월간 중국의 13개 성(省) 과 6개의 중국 국민혁명군 전구(戰區)에 이르는 광범한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대원들은 주로 일본군·중국 친일정권의 괴뢰군을 대상으로 한 심리전과 유격전, 그리고 중국군과 민중을 대상으로 한 선전 및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42년 7월 이후 조선의용대는 중국 국민당 관할지역의 한국광복군과 중국공산당 관할지역의 조선의용군으로 분화하였다. 특히 조선의용대 일부가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편 제됨으로써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연합전선정부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촉진제로 작용하였다. 중국 화북지역에서 활동하던 조선의용군은 1945년 8월 일제 패망 이후 만주(중국동북)로 진출하여 조선인 보호와 연변조선족자치주 성립 기여 등 큰 활약을 하였다. Theme 1. 조선의용대의 창립과 중국 화북지역에서의 활동・박동환 Theme 2. 조선의용대의 한국광복군 합류・김광재 Theme 3. 중국 국민정부와 조선의용대・배경한 Theme 4. 조선의용군의 활동과 만주(중국동북) 진출・염인호 광복 제80주년 기념 특집 ‘중국 관내 항일무장조직 조선의용대의 재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