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page

강원도 DMZ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 6 - 방한계선을 남하시켰고, 남한도 DMZ 남방한계선을 북상시켰다. 쌍방이 2km 후퇴라 는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비무장지대의 남방한계선과 북방한계선 을 따라 배치된 수많은 군인과 막강한 화력이 실제로는 비무장지대 내에 배치되어 있 는 실정이다. 그리고 수많은 소규모 총격전들도 있었다. 따라서 비무장지대라는 용어 는 명목상 개념일 뿐이고, 실질적으로는 ‘중무장지대’인 것이다.3) <그림 Ⅱ-1> 강원도 DMZ 일원의 공간적 구조 1.1.2. 민간인통제지역(민북지역) 군사시설보호법에 의한 군사시설보호구역은 고도의 군사 활동 보장이 요구되는 군 사분계선에 인접한 지역과 기타 중요한 군사시설의 기능보전이 요구되는 구역인 ‘통제 보호구역’, 그리고 군 작전의 원활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과 기타 군사시설 보 호 또는 지역주민의 안전이 요구되는 구역인 ‘제한보호구역’ 두 가지로 구분되어 설정 된다. 3) 김재한(2006), DMZ 평화답사, pp. 2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