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3page
제5장 1920~40년대의 독립운동 / 2 29 지방제도 개편과 함께 만든 자문기관은 행정기관에 둔 부府협의회‧면面협 의회·도道평의회와 교육기관에 설치한 학교평의회 등 네 가지였다. 이 가 운데 일본인이 많이 사는 부의 협의회 경우, 도시화 과정에서 일본인과 한국인 지주가 많아진 전국 24개 지정된 면만 선거제였다. 나머지 약 2,500개 보통면의 협의회 회원은 모두 군수가 지명했다. 도평의회의 경우 회원의 2/3를 부·면 협의회 회원이 뽑은 후보자 중에서 도지사가, 나머지 1/3도 그들의 눈으로 보아 이른바 ‘학식과 명망이 있는 사람’을 역시 도 지사가 각각 임명했다. 학교평의회는 부와 군에만 설치되었으며, 학교평 의회 부회원은 선거제였으나, 군회원은 면협의회 회원이 뽑은 사람 중에 서 군수가 임명했다. 도지사나 부윤府尹·군수가 임명하는 회원의 대부분이 친일인사였음은 말할 나위 없다. 또 선거제의 경우도 일본인의 당선률이 한국인의 그것 보다 훨씬 높았다. 우선 선거권자가 1년에 부세府稅나 면부과금面賦課金 을 5원 이상 납부한 사람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일본인과 한 국인 지주 및 자산가와 부유한 상인만이 선거권을 가질 수 있었다. 1920 년의 경우를 예로 들면 한국에 사는 일본인들은 45명 중 1명이 부‧면 협 의회 회원이 되었으나, 한국인은 2,800명에 1명이, 그것도 친일인사가 그 회원이 되었다. 2) 일제의 전시총동원체제와 민족말살 정책 1931년 일제에 의해 중국대륙 침략이 시작됨에 따라 한국은 종전의 미곡 수탈 대상에서 전쟁수행을 위한 병참기지로서의 역할까지 떠안았 다. 나아가 1937년 중일전쟁, 1941년 태평양전쟁이 발발함에 따라 일제 의 전쟁수행정책은 더욱 강화되었다. 즉 일제는 내선일체內鮮一體‧황국 신민화를 내세워 조선 민중을 총동원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농공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