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page

198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사실적 독해력 및 비판적 독해력의 경우 인문 고전 독서교육 전-후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어휘력 결과의 경우 인문 고전 독서교육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 결과와 차이가 없었지만, 독해력의 경우 인문고전 독서교육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차이검증 결과에서는 사실적 독해력과 비판적 독해력이 실험집 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반면, 실험집단의 인문고전 독서교육 전-후의 차이검증에서는 사실적 독해력과 비판적 독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반대로 추론적 독해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분야별 독서력의 경우 인문/예술,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의 독서력은 인문고전 독서교육 전-후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문학분야의 인문고전 독서교육 전-후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경우의 결과도 앞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인문고전 독서교육 후 차이검증과는 다른 결과로 인문고전 독서교육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분야별 독서력 중 사회과학 분야의 독서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된 반면, 실험집단의 독서교육 전-후 간의 차이에서는 문학 분야의 독서력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5.3.4 통제집단의 실험 전-후 집단 내 차이검증 다음으로 A집단과 마찬가지로 통제집단인 B집단의 1학기와 2학기의 집단 내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B집단은 통제집단이기 때문에 1학기와 2학기 사이 A집단과 같은 인문고전 독서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같은 표본이 1학기와 2학기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1학기의 2명이 2학기엔 삭제되어 2명의 표을 제거하여 총 56개의 표본으로 분석하였다. <표 12>는 B집단의 1학기와 2학기의 독서능력 평가결과의 차이검증 결과이다. 변수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독서능력 (LQ) 1학기 56 456.61 185.583 - .521 .605 2학기 56 468.93 189.772 어휘력 1학기 56 3.55 .658 1.525 .133 2학기 56 3.38 .799 사실적 독해력 1학기 56 3.27 .904 -1.112 .271 2학기 56 3.41 .708 추론적 독해력 1학기 56 3.34 .793 -1.805 .077 2학기 56 3.55 .851 비판적 독해력 1학기 56 3.27 .726 -1.069 .290 2학기 56 3.39 .755 문학 분야 1학기 56 3.61 .985 -1.358 .180 2학기 56 3.84 .930 인문/예술 분야 1학기 56 3.41 .968 - .394 .695 2학기 56 3.46 .914 <표 12> B집단 1학기-2학기 독서능력 평가결과 차이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