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page
Ⅱ. DMZ 관광의 정의 및 자원현황 - 5 - Ⅱ. DMZ 관광의 정의 및 자원현황 1. DMZ의 관광자원화 배경 1.1. DMZ 관련 개념 1.1.1. DMZ(Demilitarized Zone : 非武裝地帶) DMZ 일대는 일반적으로 DMZ, 민북지역, 접경지역으로 구분된다. DMZ (Demilitarized Zone : 非武裝地帶)란 “국제법상으로는 국가가 병력(military force)의 주둔과 군사시설(military installation)의 유지를 하지 아니할 의무를 지는 그 국가의 영토와 영해, 하천, 운하 그리고 그 상부의 공역을 포함하는 특정지역이나 구역”을 말 한다. DMZ에는 병력, 전쟁물자, 군수공장 등의 설치가 금지 또는 제한되어 있다.2) 한반도의 DMZ는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전쟁이 1953년 7월 27일 공식적으 로 종전된 후 국제연합군 총사령관을 일방으로 하고, 북한의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 중국인민군 지원사령관을 다른 일방으로 하여 한국군사정전에 관한 협정(휴전협정)이 체결됨에 따라 성립되었다. 이와 같이 DMZ는 휴전협정이라는 국제법적 개념에 의하여 설치된 것이며 관리, 감 시 또한 군사정전위원회라는 국제기관에 의해서 실행되고 있다. 그리고 비무장지대의 통치는 군사정전위원회가 행사하고 영유권은 남북한이 공유하는 특수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비무장상태는 휴전상태에서만 지속되는 한시적인 것이다. 정전협정에 의하면, 비무장지대는 합의된 군사분계선으로부터 쌍방이 각각 2km 후 퇴함으로써 적대 행위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한 지역이다. 비무장지대에는 군 인과 민간인 모두 그 지역 사령관의 특정한 허가 없이는 들어갈 수 없으나, 민사 행 정과 구제(relief) 집행관계자 그리고 군사정전위원회의 특정 허가를 받은 사람만이 들 어갈 수 있다. 그러나 정전협정의 내용과는 달리, 북한은 자신이 북부한계선으로 부르는 DMZ 북 2) 신원우(2001),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 생태계 보전대책」, DMZ․ 접경지역의 현황과 전망, 경기북부환 경운동연합, 환경운동연합 DMZ특별위원회 공동개최 세미나 자료, 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