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196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실험집단인 A집단의 평균이 3.79점, B집단의 평균은 3.55점으로 A집단의 평균이 0.23점 높았으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비판적 독해력의 경우 A집단은 평균 3.71점, B집단은 평균 3.39점으로 A집단의 평균이 0.32점 높았고,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서 가설 1중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사실적 독해력과 비판적 독해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사실적 독해력과 비판적 독해력을 향상시킨다고 해석할 수 있는 반면 추론적 독해 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설 2의 인문고전 독서는 어린이의 분야별 독서력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학 , 인문/예술,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별 독서력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학 분야, 인문/예술 분야, 자연과학 분야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 반면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실험집단인 A집단은 평균 3.33점, B집단은 평균 2.96점으로 A집단의 평균이 0.36점 높았으며,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 중 인문고전 독서교육이 분야별 독서력 중 사회과학 분야의 독서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 또한 사회과학 분야의 독서력을 향상시킨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문학, 인문/예술, 자연과학 분야의 독서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해설할 수 있다. 변수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값 p값 독서능력 (LQ) A집단 52 585.77 167.547 3.381** .001 B집단 56 468.93 189.772 어휘력 A집단 52 3.92 .813 3.532*** .001 B집단 56 3.38 .799 사실적 독해력 A집단 52 3.73 .770 2.251* .026 B집단 56 3.41 .708 추론적 독해력 A집단 52 3.79 .723 1.540 .127 B집단 56 3.55 .851 비판적 독해력 A집단 52 3.71 .723 2.236* .027 B집단 56 3.39 .755 문학 분야 A집단 52 4.06 .802 1.302 .196 B집단 56 3.84 .930 인문/예술 분야 A집단 52 3.79 .871 1.884 .062 B집단 56 3.46 .914 사회과학 분야 A집단 52 3.33 .706 2.654** .009 B집단 56 2.96 .713 자연과학 분야 A집단 52 3.75 .789 .654 .514 B집단 56 3.64 .903 <표 10> 인문고전 독서교육 후(2학기) 집단 간 독서능력 평가결과 차이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