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20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12] 이상권. 1981. 근대미학에서의 상징의 개념.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13] 이준희. 2012. 정채봉 동화의 모성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이현진. 2008. 색의 상징성에 기초한 아동희 색채심리 재해석.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15] 잉그리트 리델 지음, 정여주 옮김. 2000. (융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16] 임성관. 2011. 독서치료의 모든 것. 서울: 시간의 물레. [17] 자포쿠니스 기획. 1994. 어머니와 창녀-새로운 페미니즘을 위하여. 서울: 지인출판사. [18] 정향국. 2012. 자기실현 특성에 의한 영화공간 연구: 분석심리학적 상징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 최현정. 2008. 융(C. G. Jung)의 상징이론을 통한 어린이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상적(表 象的 ) 특성 연구: 존 버닝햄의 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 피종삼. 2011. 흑백 그림책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과 상징성 연구: 분석심리학적 방법의 적용.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1] 황정아. 2002. 미술의 심상적 표현을 위한 색채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1] Jacobi, Jolande. 1999. Complex, Archetype, Symbol in the Psychology of C. G. Jung. 80. [22] Jung, C. G. 1983. Types Psychologiques. Paris: Buchet/Chastel. 469. [23] Jung, C. G. Psychology and Alchemy. CW. 12. [24] Jung, C. G. On the Relation of analytical Psychology to the Poetry. CW. 15 [25] Ladriere, J. 1982. Discours theologique et symbole in Le Symbole. Strasbourg: Universite des Sciences Humaines de Strasbougt. 119. [26] Littre, E. 1959. Dictionnaire de la langue francaise. Paris: Gillimard, Hach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