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page
21page
銘
峽絶東郡 環者皆山 협절동군 환자개산 / 康莊莫通 懋遷極艱 강장막통 무천극간
惟我李侯 何暮東藩 유아이후 하모동번 / 矜民勞苦 眷愛頻煩 긍민노고 권애빈번
東遷五丁 始達九逵 동천오정 시달구규 / 以鎰十萬 助給其資 이일십만 조급기자
便宜吾民 從見富殷 편의오민 종견부은 / 萬口皆碑 永頌厚恩 마구개비 영송후은
昭和七年六月十日 소화칠년 유월십일 / 旌善郡守金澤林撰 정선군수 김택림찬
〈해석〉
깊은 산골짜기 동군이라 온통 산으로 둘러싸여
사방 팔방 막혔으니 힘써 교역하기 심히 어렵네
우리 이후(이범익)시여, 이 고을에 어찌 이리도 늦었는고!
백성 위해 노고하며 사랑으로 돌보기를 다하셨네
동쪽으로 오력사를 파견하여 사통팔달 뚫리었고
십만 일 거금으로 밑천들여 자본으로 도와주었네
우리 백성 편의하니 이로부터 넉넉하고 풍성해져
많은 사람 칭찬하니 두터운 은혜 영원히 칭송하네
소화7년(서기 1932년) 7월 10일 정선군수 김택림 지음
東藩 : 동쪽 울타리, 즉 동쪽 제후를 말함
康莊 : 길의 오거리를 康, 육거리를 莊이라 함
五丁 : 신화 전설 중의 다섯 力士
鎰 : 무게의 단위. 스물넉 냥(兩)을 말함
출처 : 민족문제연구소 회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