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page
205page
애국지사 백당 신태윤(申泰允) 선생 약전
본관 : 평산(平山) 호(號): 백당(白堂)
시조: 고려태사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31세손
현조 : 사간공호 (浩)의 16세손
부(父) : 의관(議官) 석룡(錫龍)의 2남
출생 : 1884.6.15 전남 담양군 남면 외동리에서 출생
○ 학력
1895 : 한문 수학 1904 : 전남 담양 창흥학교 졸업
1906 : 광주농업학교 졸업
1908 : 서울 한성사범학교 졸업
○ 경력 및 저서, 포상
1909 : 곡성 보통학교(현, 곡성중앙초등학교) 훈도(교사)
1914 : 곡성읍 삼인동에 자주독립과 애국애족을 위하여 단군전(檀君殿) 건립: 어천절, 개천절 제향
1916 : 만주 봉황성 동지를 단군 사료 고증 답사 겸 독립군과 접촉 상해 임정과 접촉
1919 : 3월 24일 곡성에서 대한독립만세 주도. 정래성, 김중호, 양성만, 박수창, 김경석, 김기섭, 김봉수, 정용태, 오종태, 임낙기, 김경택 지사와 군민이 궐기
1919 : 5월 19일 : 광주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 언도, 6월 13일: 대구 복심 법원에서 징역 2년 언도, 8월 18일 경성고등법원에서 징역 2년 확정. 대구형무소 이감 복역 가산 몰수, 10년간 인권박탈 자격 정지
1923 : 곡성에서 축출, 서울로 이거, 서울장훈학교 근무
1924 : 옥중저서" 正史" 배달국사(倍達國史) 편집 발간, 판매 중지 당함
1925 : 도해 삼일신고강의(三一神誥講義) 저술발간, 경북 성주군 초산면 고산동에 학교 창설 육영, 경북 성주군 가야산 산정에 단군단 설단 제향
1926 : 전남 장성군 북이면에 신흥학교 창설, 육십 만세 사건에 장성에서 거사 미수, 순창군 복흥면에 칩거 민족 운동 고취
1928 : 담양군 지곡학교 근무, 지곡리 만수동 단군단 설단
1929 : 담양군 고서면 주평리 뒷산에 단군단 설단
1931 : 곡성읍 상인동 소재의 단군전(檀君殿)을 곡성읍 봉황대 성역으로 옮겨 봉안 중창
1945 : 8.15 광복 곡성군 건국의 위원장 추대됨, 단군전 봉호회, 단군성조보본회(報本會) 구성, 전 군민 참여
1946 : 저서 정사(正史) 증간,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발간, 전남북지역 순회 역사강의
1947 : 광주사범학교 교사 1949: 조선대학교 국사과 교수
1952 : 곡성읍 봉황정에 곡성군민의 협찬으로 단군전 중창
1960 : 저서 "대한사략(大韓史略) 윤기(韻記) 탈고
1961 : 음력 8월 27일 78세 일기로 곡성 봉황정에서 서거
1969 : 곡성군민 및 유림들이 의적비(義績碑)를 세움
1977 : 독립유공자로서 (건국포장) 주서
1978 : 곡성군관민 3.1 운동기념비 단군전 경내 건립
1991 : 8.15 독립유공자로서(건국훈장 애국장(建國勳章 愛國章) 추서
1995 : 곡성군민 숭모비(崇慕碑) 단군전 경내 건립
2003 : 묘지(제2국립 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안장)
205page
이 앨범의 모든 사진에는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 정보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화면 상단 우측의 카메라 버튼(EXIF)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담양군 탐방을 마치고 곡성군으로 넘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