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page

2020년5월31일 일요일 2 (제161호) 기 획 선왕에게 제사를 지내 자손들의 복을 기원하는 행위는 원 시시대이래로지속적으로시행하여왔다. 신라에서의 종묘에 대한 기록은 븮삼국사기븯에 따르면 2대 남해왕 3년(AD6)에 시조인 혁거세(赫居世)의 묘를 세워 4 계절에제사를지냈다는것이처음이다. 그러나 이 기사 다음에는 22대 지증왕대에 시조가 내려와 태어난 나을(奈乙)에 신궁(神宮)을 세워 제향 하였다는 기 록이 나오고 있다. (븮三國史記븯 卷 32 雜志 1 祭祀) 이를 비교 해 보면 븮삼국사기븯의 찬자가 시조묘인 신궁의 제사와 종묘 의제사를동일시했음을알수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신궁의 제사를 종묘제의 원류로 보는 연구 경향도 있는데, 분명한 것은 시조와 후대의 왕들이 같 이 모셔진다는 종묘의 기본 원리에는 부합되지 않았다는 것 이다. 븮삼국사기븯 제사지에 의하면 36대 혜공왕(765-780) 때에 이르러비로소5묘(五廟)를정하였다고한다.이때에모셔진 신주는 김씨 시조인 미추왕(味鄒王), 태종대왕(太宗大王), 문무대왕(文武大王), 경덕왕(景德王)과 성덕왕(聖德王)이 었다. 이중 시조인 미추왕과 삼국통일에 공이 큰 태종대왕과 문 무대왕은 세대가 지나도 옮기지 않는 신위인 불천위(不遷 位)로 설정하였다. 그런데 이 기록보다 대략 1세기 전인 신 문왕 7년(687)에 처음으로 종묘에 제사를 지냈는데,그 봉안 된 신주가 태조와 진지왕(眞智王), 문흥대왕(文興大王), 태 종무열왕, 문무왕의 5위였다는 기사가 나온다. (븮三國史記븯 卷8新羅本紀神文王7年.) 이것은 7세기 후반 이미 중국의 제도와 유사한 종묘제가 시행되었음을 보여주며, 앞의 혜공왕대의 기록은 종묘제가 정식으로 제도화되었음을 뜻한다. 아마도 통일전쟁을 치르 는 과정에서 당과의 밀접한 교류가 시행되었고,그들의 문물 을 수용하는 가운데 당의 제도를 본받은 종묘제가 도입된 것 같다. 특히 위에서 보는 5묘제는 ‘천자(天子)는 7묘, 제후(諸侯) 는 5묘’라는 븮예기(禮記)븯 의 원리에 입각한 것으로 당시 당 에 조공을 보내고 책봉을 받았던 신라의 입장을 그대로 보여 준다. 그런데 이러한 신라의 묘제는 후대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였다. 이 시기 신라에서는 5묘제를 종묘에 5위의 신위를모시는과정으로이해했던것이다. 즉 원칙상 5묘제는 건국시조인 태조와 2소(昭).2목(穆)으 로 이루어지는데, 소목은 현재 왕의 4대조인 고조[1소], 증 조[1목], 조[2소], 부[2목]를 모시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는 삼국통일의 위업을 강조하면서 태종대왕, 문무대왕을 불 천위로 상정하였고,현왕의 부와 조만을 모시는 상황이 되었 던것이다. 이같이 설정된 종묘제의 운영은 상당기간 지속되었다. 다 음대인 선덕왕 때에는 성덕왕(외조)과 개성대왕(開聖大王: 추존)이친묘(親廟)로종묘에안치되었다.38대원성왕때에 도 흥평대왕(興平大王:추존)과 명덕대왕(明德大王:추존)만 이 역시 친묘로 종묘에 봉안되었는데, 특히 이때는 전대(前 代)의왕을모신다는의미가아니고자신의친부(親父)와친 조(親祖)를추증하여모신다는개념이었다.이러한상황은4 0대 애장왕 2년(801)에 이르러 변화하였다.이때는 무열왕과 문무왕을 위해 따로 별묘(別廟)를 건립해 봉안하고, 종묘에 는 시조와 명덕대왕(고조), 원성대왕(증조), 혜충대왕(惠忠 大王:조),소성대왕(昭聖大王:부)을모셨다. 이것은 현왕의 4대조를 모시는 종묘제 원래의 모습으로 바 뀐 것을 의미한다. 애장왕대 이루어진 5묘제의 내용은 이후 특별한변동없이신라말까지시행된것으로보인다. 이상에서 보듯이 신라의 종묘제는 혜공왕대 5묘제의 시행 으로 본격화되었고, 애장왕대에 그 대상 신위를 조정함으로 써발전하였다. 그 제사의 실제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잘 알 수 없는데, 다만 당시 제사를 시행했던 시기가 븮삼국사기븯에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종묘의 제사는 1년에 6차에 걸쳐 시행되 었는데,정월 2일과5일,5월 5일,7월 상순,8월 1일과 15일이 었다. 이와 같은 제사의 시기는 중국 및 고려시대 이후와는 자못 달랐다. 원래 종묘제사는 븮예기븯 에 근거하여 4계절의 첫 달 즉,1월,4월,7월,10월에 제사를 시행하게 규정되어 있고,후 한(後漢)이후납일(臘日)이추가되어전체 5차례가 되었다. 따라서 신라의 종묘 제사시기가 다른 것은 비록 그 제도가 중국의 것을 도입해 그 기틀을 마련했다고는 하지만 실제의 운영은 신라 자체의 필요성에 의하여 이루어졌음을 의미한 다. 이중 5월 5일과 8월 15일의 제사는 조선시대에도 속절(俗 節)의 제사로 중시되었는데, 그 기원이 여기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신라의 종묘가 5묘를 택했음에도 신라 건국시조가 주벽이 아닌 점은 아쉬운 부분으로 향후 우리들 의숙제가아닌가진단해본다. 종묘제례의 유형별로 사용하는 제수가 조금씩 차이가 있 다. 오향대제(五享大祭)는 종묘에서 매년지내는사시제와납 일의 제향을 말한다. 이는 종묘에서 가장 큰 제사이기 때문 에,‘대제(大祭)’라칭하였다. 사시제의 날짜는 사계절 첫 달의 상순으로 길일을 점쳐서 정하였다. 제사 음식은 12변( 븅) 12두(豆)이며, 제사 절차는 참신-신관례-궤식-초헌례-아헌례-종헌례-음복례-사신- 철변두-망예의순서로거행되었다. 오향대제는 각 능전(陵殿)에서 거행하는 큰 제향을 칭하 기도하였다. 【밥류 飯類】 4가지의 곡식, 즉 도(稻), 양(粱), 서(黍), 직 (稷)으로 각각 만든 밥을 말한다. 도로 지은 밥과 양으로 지 은 밥 은 각 각 보 ( 빠)라 는 제 기 에 두 개 씩 담 고 , 또 한 서 로 지 은 밥과 직으로 지은 밥은 각각 궤( 눗) 에 두 개 씩 담 아 서 놓 는 다 . 즉 도 로 지 은 밥 2 보 , 양 으 로 지 은 밥 도 2 보 , 서 로 지 은 밥은 2궤, 직으로 지은 밥도 2궤가 되는 것이다. [보( 빠) 4 개, 궤( 눗) 4개]그 순서는 제상에서 먼 쪽으로부터 도와 양 으로 지은 밥을 담은 보 4개가 일렬로 먼저 놓이고 그 다음 에서와직으로지은밥을담은궤4개가일렬로 놓인다. 【젓갈류】 4가지의 젓갈, 즉 토해 [토끼고기로 담은 젓갈], 녹해 [사슴고기로 담은 젓갈], 어해 [생선으로 담은 젓갈], 탐해 [쇠고기로 담은 젓갈]를 두(豆) 4개에 각각 담아 놓는 다. 【떡류 餠類】 6가지의 떡, 즉 분자병, 구이병, 흑병(黑餠), 백병(白餠), 삼식병, 이식병을 차리는데, 분자병, 구이병, 흑 병, 백병은 각각 변( 븅) 4개에 각각 담아서 놓고, 삼식병, 이 식병은두(豆)2개에담아놓는다. 【과일류 果類】 5종류의 과일, 즉, 검인( 괵仁), 능인(菱仁), 말린 밤[黃栗], 말린 대추[乾棗],개암나무 열매[榛子]를 변 ( 븅)5개에각각담아서놓는다. 【김치류】 4 가 지 의 절 인 채 소 , 즉 절 인 무 , 절 인 미 나 리 , 절 인부추,절인죽순을각각두(豆)4개에담아놓는다. 【포류】 말린 사슴고기로 만든 녹포(鹿脯)와 말린 대구어 로 만 든 어 숙 을 각 각 변 ( 븅)2개에담아놓는다. 【국류 羹類】 간을 하고 양념을 넣은 형갱 [화갱이라고도 한다]과 간과 양념을 하지 않은 대갱(大羹)으로 나뉜다. 우 선 제상에서 먼 쪽부터 돼지,소,양으로 대갱을 만들고 각각 의 대갱을 등(登瓦)이라는 제기에 두 그릇 씩 담아 놓는다. 즉 시대갱(豕大羹)을 두 개의 등에 담고, 우대갱(牛大羹)을 두 개의 등에 담고, 양대갱(羊大羹)을 두 개의 등에 담아 놓 는 것이다. 대갱의 아래쪽에 다음으로 돼지, 소, 양으로 형갱 을 만들고 각각의 형갱을 형에 두 그릇씩 담아 놓는다. 즉 시 형갱을 두 개의 형에 담고,우형갱을 두 개의 형에 담고,양형 갱을 두 개의 형에 담아 놓는 것이다 [결국 사용되는 등은 6 개이고,형도역시6개이다]. 【생고기류腥類】돼지,소,양의 각각의 희생물의 7가지 부 위 [비(脾)2, 견(肩)2, 협(脅)2, 척(脊)1] 를 갑(匣)에 담아 조 [俎 : 희 생 의 고 기 나 내 장 을 올 려 놓 는 작 은 탁 자 ] 에 놓 는 다. 즉 시성(豕腥)의 7체(體)를 갑(匣)에 담아 하나의 조에 놓고,우성(牛腥)의 7체를 갑에 담아 하나의 조에 놓고,양성 (羊腥)의7체를다시또갑에담아조에놓는것이다. 【천조薦俎】소의 창자.위장.허파를 익힌 것과,양의 창자. 위장. 허파를 익힌 것과, 돼지의 익힌 살코기를, 나무로 만들 어지고 세 칸으로 나뉘어진 상자모양의 제기인 천조갑(薦俎 匣 ) 에 담 아 조 [俎 : 희 생 의 고 기 나 내 장 을 올 려 놓 는 작 은 탁 자모양의제기]위에올려놓는다. 제상의앞쪽에서부터돼지,양,소의순서로놓는다. 【주류 酒類】 종묘의 오향대제에 쓰이는 술 [물도 포함]의 종류는 봄 . 여름과 가을 . 겨울 . 납일이 모두 같으나 각각의 술을 담는 제기는 각각 다르다. 우선 봄 . 여름에는 울창(鬱 현),예제(醴齊),앙제( 왑齊),청주(淸酒),명수(明水),현주 (玄酒)가 쓰이는데,울창은 조이(鳥彛)에 담고,예제는 희준 (犧尊)이라는 제기에 담고,앙제는 상준(象尊)에 담고,청주 는 산 뢰 (山 릎)라는 제기에 담고, 명수는 계이(鷄彛)븡희준븡 상준에 각각 따로 담고, 현주는 산뢰라는 제기에 담아 놓는 다. 놓는 순서는 제상의 먼 쪽부터, 첫째 줄에는 계이 . 조이 를 놓고,둘째 줄에는 희준을 놓고,셋째 줄에는 상준을 놓고, 넷째줄에는산뢰를놓는다. 다음으로 가을 . 겨울 . 납일의 제사에는, 울창은 황이(黃 彛)라는 제기에 담고, 예제는 착준(著尊)이라는 제기에 담 고,앙제는 호준(壺尊)이라는 제기에 담고,청주는 산뢰라는 제기에담고,명수는계이븡착준븡호준에각각따로담고,현주 는 산뢰라는 제기에 담아 놓는다. 놓는 순서는 역시 제상의 먼 쪽부터, 첫째 줄에는 황이븡가이( 갊彛)를 놓고, 둘째 줄에 는 착준을 놓고, 셋째 줄에는 호준을 놓고, 넷째 줄에는 산뢰 를놓는다.또한어떤경우이던국자를놓아둔다. 【돈박 豚拍】 돈박은 익힌 돼지고기를 말하며 이를 하나의 두(豆)에담아놓는다. 【비석 脾析】 비석은 소의 지라를 말하며 이를 하나의 두 (豆)에 담아 놓는다. 【폐백 幣帛】 폐백은 백저포(白苧布) 1단(端)을 비에 담아 놓는다. 【번료 燔 맏】 양의 기름을 등이라는 제기에 담아두는데, 피 서(皮黍)와피직(皮稷)을이기름에담가서불로태운다. 【형염形鹽】간 맞 추 는 소 금 을 변 ( 븅)에담아놓는다.뱚 【양념류】일반적인 제수 외에 겨자 [芥子],생강(生薑),식 초[醋]등이있다. 【등불및기름】촛불 [燭]과,등불 [燈]을 밝히는 기름인 등 진유(燈眞油), 황랍 [黃蠟 : 밀랍], 법유 [法油]와, 촛불 종류 인 팔촉(八燭), 오촉(五燭), 사촉(四燭), 준소촉(尊所燭), 조 촉(照燭)과등불[燈]종류인조등(照燈)등도사용되었다. 영녕전은 조선시대 종묘에 함께 모시지 못한 위패를 따로 모 시 기 위 해 지 은 별 묘 ( 別 廟 )이 다 . 종묘븡영녕전의 봄과 가을 제사에 쓰이는 제수는 종묘 오향 대제와동일하다. 【밥 飯 類 】 밥은 4가지의 곡식, 즉 도(稻), 양(粱), 서(黍), 직(稷)으로 각각 밥을 지어서, 도로 지은 밥과 양으로 지은 밥은 각각 보( 빠)에 하나 씩 담고, 또한 서로 지은 밥과 직으 로 지 은 밥 은 각 각 궤 ( 눗)에 하나 씩 담아서 놓는다. 즉 도로 지은 밥을 담은 보 하나, 양으로 지은 밥을 담은 보 하나, 서 로 지은 밥을 담은 궤 하나,직으로 지은 밥을 담은 궤 하나가 제상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 순서는 제상에서 먼 쪽으로 부터 도와 양으로 지은 밥을 담은 보 2개가 일렬로 먼저 놓이 고 그 다음에 서와 직으로 지은 밥을 담은 궤 2개가 일렬로 놓인다. 【젓갈】 젓갈은 사슴고기로 담근 녹해를 사용하며 이를 두 (豆)하나에담아제상에놓는다. 【과일 果類】 과일은 말린 밤[黃栗]을 사용하며 이를 변 (븅)에담아제상에놓는다. 【김치】 김치는 무김치를 사용하며 이를 두(豆) 하나에 담 아제상에놓는다. 【술 酒】 술과 물은 예제,청주,현주,명수를 사용하는데 그 담는 제기는 봄븡여름과 가을븡겨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먼저 봄과 여름에는 예제와 명수는 두 개의 희준(犧尊)에 각각 담 고,청주와 현주는 두 개의 산뢰에 각각 담는다.그 순서는 제 상의 먼 쪽으로부터 희준이 먼저 놓이고 산뢰가 그 밑에 놓 인다. 다음으로 가을과 겨울에는 예제와 명수는 두 개의 착 준(著尊)에 각각 담고, 청주와 현주는 두 개의 산뢰에 각각 담는다. 그 순서는 제상의 먼 쪽으로부터 착준이 먼저 놓이 고 산 뢰 가 그 밑 에 놓 인 다 . 【포 脯】 포(脯)는 말린 사슴고기, 즉 녹포(鹿脯)를 사용하 며 중 간 크 기 인 중 포 (中 脯 ) 를 변 ( 븅)하나에 담아 제상에 놓 는다. 【돼지고기豕腥】희생에는 돼지가 사용되었는데 갑(匣)에 담아조(俎)라는작은탁자모양의제기에올려놓는다. 【촛불】촛불로는소랍촉(小蠟燭)3정(丁)이사용되었다. 【기름】기름은등진유(燈眞油)3합(合)이사용되었다. 기고제(祈告祭)의 제수는 삭제(朔祭) . 망제(望祭) . 명일 제(名日祭)와 같으나 여기에 흰 폐백(幣帛)1단(端)이 더 포 함된다. 춘추봉심(奉審)의 제수는 삭제(朔祭) . 망제(望祭) . 명일 제(名日祭)와 같으나 여기에 흰 폐백(幣帛)1단(端)이 더 포 함된다. 이환안제(移還安祭)의 제수는 삭제(朔祭)븡망제(望祭)븡 명일제(名日祭)와 같으나 여기에 흰 폐백 [幣白] 1단(端)이 더포함된다. 종묘의사시대향[四時大享:오향대제에서 납일제를 제외 한 봄,여름,가을,겨울의 제사]시에 종묘의 남쪽 측면의 묘 정(廟廷)한귀퉁이에있는칠사에도같이제사한다. 칠사는 국민의 안전을 위하여 집 [家屋], 대문 [門戶], 길 [道路],음식(飮食)등의 귀신에게 제사하는 것을 말한다.뱚 제사의시기와그에따른제사의대상은다음과같다. 봄에는 사명(司命)븡사호(司戶)에게, 여름에는 사조(司 튑), 6월에 중유, 가을에 국문(國門)븡공려(公 렐), 겨울에 국 행(國行)을 제사한다. 칠사에 쓰이는 제기는 두(豆) 2, 궤 (눗) 1 , 보 ( 빠) 1 , 변 ( 븅) 2 , 조 (俎 ) 1 , 촛 대 [燭 臺 ] 2 , 축 점 1 , 작(爵)1,호준(壺尊)2이며,사용되는제수는아래와같다. 1)칠사(七祀)의제수 [밥 飯類] 밥은 도(稻)와 서(黍)로 짓는다. 도로 지은 밥은 보( 빠) 하나에 담고, 서로 지은 밥은 궤( 눗) 하나에 담아 제 상에놓는다.보와궤는순서없이나란히제상에놓는다. [포 脯] 포(脯)는 사슴고기를 말려서 만든녹포(鹿脯)를 사 용하며변( 븅)하나에담아제상에놓는다. [과일 果類] 과일은 밤[黃栗]을 사용하며 변( 븅)하나에 담 아제상에놓는다. [젓갈] 젓갈은 사슴고기로 담근 젓갈인 녹해를 쓰며, 두 (豆)라는제기에담아제상에놓는다. [김치]김치는무김치를쓰며두(豆)라는제기에담아제상 에놓는다. [술 酒] 술과 물은 청주(淸酒)와 현주(玄酒)를 쓰는데, 청 주와현주를두개의호준(壺尊)에각각담는다.계절과상관 없이제기는호준만을쓴다. [돼지고기 豕腥] 희생에는 돼지가 사용되었는데 갑(匣)에 담아조(俎)라는작은탁자모양의제기에올려놓는다. [기타]촛불은육촉(六燭)2자루를쓴다. 2)묘정배향공신(廟庭配享功臣)의제수 묘정배향공신에 대한 제사는 칠사(七祀)와는 달리동향대 제[오향대제중에서겨울에지내는제사]때에만지낸다.사 용되는 제기는 칠사에 쓰이는 제기와 같으나 축(祝)을 쓰지 않으므로 축을 올려놓는 제기인 점은 쓰이지 않는다.묘정배 향공신에 대한 제사에 쓰이는 제수는 칠사와 동일하나 다만 예주(醴酒)는 매위 반병(半甁)으로 하며, 축(祝)이 없는 점 이다르다.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www.culturecontent.c om ] /다음호에는 ‘국조오례의에 보이는 숭덕전의제례 및제수’ 를소개합니다. 제의(祭儀)-종묘의역사와제수 종묘의사시및납월찬실도 ‘춘추지향 능감지설 일의숭령숭덕지의(春秋 之享陵監之設一依崇靈崇德之義)춘추(春秋) 의대제와 능감(陵監)의설치는 오로지 숭령전 (崇靈殿,고조선의시조 단군과 고구려의시조 동명왕의위패를모신곳)과숭덕전의예(例)에 따르도록하라’ 이 글은 1892년 정조 임금이 김해 숭선전에서 의질의에답변한내용이다. 이를 보듯 숭덕전의제의(祭儀)는 우리나라 전 ·릉(殿븡陵)의 표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 러나 여타 기록에 의하면 숭덕전의 제향이 중 사(中祀)에 해당하는 10변10두를 진설하고 있 음을 알 수 있으나 지금은 8변8두를 진설하고 있다. 그리고 종묘의 역사를 보면 신라는 김씨왕조 관련기록만 있을 뿐 신라 시조대왕에 관한 기 록 은 없 음 을 알 수 있 다 . 또 , 국 조 오 례 의와 고 종황제의지시로편찬한‘대한예전’에도춘·추 향때임금이친히향과축문을전한기록만있 을 뿐 이 다 . 이번호에서는종묘제례의역사와조선시대종 묘의제수에대해알아본다. 뱚▶종묘의역사 뱚▶신라의종묘 뱚▶조선시대종묘의제사별제수 뱚■오향대제의제수 뱚■영녕전춘추제향의제수 뱚■삭망제와명일제의제수 뱚■기고제의제수 뱚■춘추봉심의제수 뱚■이환안제의제수 뱚■칠사와배향공신의제수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CMY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