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page

188 / 청송의 독립운동사 의지와 역량을 세계인들에게 알리는 절호의 기회가 되었다. 셋째, 3‧1 운동은 종교계와 학생, 노동자‧농민들의 참여로 독립운동의 참여계층을 확대하였다. 이로써 1920년대 이후 농민‧노동‧학생‧사회‧여성운동 등 독 립운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넷째, 국민들의 정치인식이 근대화되는 기반 을 마련하였다. 3‧1운동 때 민중들이 시위과정에서 민주공화정 추구라는 광장에 합류하였다. 다섯째, 3‧1운동의 결실로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탄 생시켰다. 조선이 독립국임을 선언했으니, 다음 순서는 그 독립국을 운 영해 나갈 정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여섯째, 3‧1운동은 이후 만주와 노령 연해주 일대에서 무려 40여 개의 독립군 단체들이 편성되고 정비 되어 국내진입작전을 개시하는 등 본격적인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하는 계기가 되었다.29) 다음으로 3‧1운동이 가지는 세계사적 의의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 째, 3‧1운동은 중국의 5‧4운동에 영향을 끼쳤다.30) 3‧1운동 소식을 들은 중국의 지식인과 학생들이 두 달 뒤인 5월 4일에 3‧1운동을 ‘세계혁명사 의 신기원’으로 평가하고 궐기하였다. 둘째, 1919년 4월 인도에서 마하트 마 간디의 주도 아래 전개된 비폭력‧비협조 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셋째, 1919년 여름에 일어난 베트남의 독립운동, 필리핀 마닐라 대학생과 이집 트 카이로 대학생들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3‧1운동이 제국주의 침략을 받은 약소국가의 독립운동에 충격을 크게 주었음은 다 시 더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 29)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박은식전서 상, 단국대출판부, 1975, 637-640쪽. 30) 최용수, 「조선 3‧1운동과 5‧4운동의 비교-중국사료를 중심으로 하여-」, 《국사관논총》49, 국사편찬위원회,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