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page

제1젤 민주화 시대의 개막과 시민사회운동의 래동 1. 한국의시민사회운동 한국의 시민운동은 1987년 6월 민주회운동의 성과로 얻어진 민주화 시대의 개막 과 더불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민주화 이전 한국의 사회운동들은 반독재 민주 화운동과민중운동,부문별시민운동등복합적인성격을가졌다가민주화이후사 회운동의 탈정치화가진행되면서 민중운동과시민운동간의 구분。1 기속화되었다. 시민사회단체는활동영역에따라부문별단체와종합적단체로구분할수있다. 전자에 해당하는단체들이 민주화 이전부터 반독재 민주화운동과 민중운통성격에 서 출발하여 점차중산층시민운동으로성격이 변화되어 왔다면후자의 경우에는 민주화 이후에 본격적으로 결성되기 시작했다. 부문 운동 기운데 그 역사와 영향력에서 두드러진 것은 단연 환경과 여성이라 할 수 있는데 모두 민중운동에서 출발하여 변화과정을 거쳐 왔다. 우리나라 환경운동 의 효시는 1982년 한국공해문제 연구소의 설립이라 할 수 있는데 이를 계기로 기존 의 산발적 주민운동들이 목적의식적인 조직적 운동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1984 년에는 조직화 수준이 한층 높아져 반공해운동협의회가 결성되었고 1988년 최초의 전국적 환경운동 조직이라 할 수 있는 공해추방운동연합(약칭, 공추련)으로 발전하였 다.공추련은민중운동이시민운동으로전환하는시기에출범하였지만민중운동적 의식을가지고있었다 환경운통이 시민운동으로자리 잡게된 것은 1993년 환경운동연합(약칭, 환경련)이 출범하면서부터이다. 1980년대의 환경운동 1세대들이 반공해운동을 전개하면서 스스로의 운동을 민중민주운동으로 상정하였다면 환경련과 1991년 탄생한 배달환 경회의(배달환경연합을거쳐 현재 녹색연합이 됨), 1992년 리우회담을 계기로설립된 경제정 의실천시민연합(약칭, 경실련) 내 환경개발센터(현 환경정의) 등 1990년대 환경 단체의 성장사는 곧 제도화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변화된 정치적 기회 구조 하에서 정부 는환경운동단체들의 전문성을정책화과정에서 활용하;E 자하였고, 실제 다OJ한 경로를통해 단체들의 정책 참여가진행되었다. 이후환경련은 2000년대 동아시아 제2펀 공정사회를위한실천,시민사회 활통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