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page


187page

유돈상(柳敦相) / 만주 방면 / 건국훈장 애족장 춘천의병장 외당 유홍석의 손자이다. 경술국치 이후 1911년경 조부 유홍석, 재종조, 의암, 유인석, 부친 유제원, 모친 윤희순을 따라 만주로 건너갔다. 1915년에는 선대의 독립정신과 그 유지를 이어 본격적으로 독립운동의 일선에 나섰다. 마침내 음성국, 음성진 등 180여 명의 동지를 얻어서 조선독립단 또는 대한독립단을 조직하였다. 이들은 홍익단과 합세하여 왜적을 치기로 계획하고 준비하던 중 일제의 앞잡이에게 기밀이 누설되어 일제의 급습으로 실패하였다. 이에 피신한 그는 효준 또는 효남으로 이름을 바꾸어 가며 다시 독립투쟁의 계획을 세웠다. 그 후 독립군 양성이 절실함을 깨닫고 학교를 세우고 민족정신 교육과 인재양성을 위한 군사훈련에 전력을 기울였다. 1928년에는 귀국하여 강원도 춘천, 충북 진천 등지에서 민족교육을 실시하며 한편 군자금을 모집하여 만주지역 독립운동단체를 지원하기도 하였다. 1931년 다시 만주로 건너가 무순에서 독립단을 재조직하여 활동, 1935년 청년단들을 교육하던 중 일제의 급습으로 피체되어 모진 고문 끝에 동년 7월 19일 42세를 일기로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93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서상경(徐相庚) 1900.08.22~1962.12.07 / 문화운동 / 건국훈장 애국장 청주농업학교 재학중에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이천만 동포에게 고함]이라는 격문 300매를 등사하여 배포하다가 3월 19일 일제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5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일본으로 건너가 무정부주의 독립운동에 공명하고 1923년 9월 1일 일본 동경에서 박열 등 기타 동지들과 함께 불령사를 조직했으며, 흑도회에 가입하여 잡지 [흑도]의 발행에 참여하였다. 귀국 후 1925년 1월에 충주에서, 서정기 등 3명의 동지와 회합하고, 서울에서 무정부주의 독립운동단체인 흑기연맹을 조직하여 무정부주의 연구와 선전활동을 하다가 일제 경찰에 체포되었다. 1925년 11월 17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제령 7호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29년 2월 18일 충청북도 충주군 충주면 읍내리 금성여관에서 권오순.안동규.김학원.정진복.서정기.김현국 등 동지들과 함께 문예운동사라는 항일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잡지 [문예운동]을 간행하려고 활동하다가 또다시 일제 경찰에 피체되었다. 1930년 3월 12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5년형을 언도받고 항소햇으나, 1930년 5월 26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5년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187page

최성천(崔聖天) 1885~1910 / 의병 / 건국훈장 독립장 처음 김상태 의진에 참여하였고, 이후 의병장으로 경북 예천.봉화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김상태 의병장은 충북 영춘 출신으로 1차 의병과 2차 의병운동에 참여하였던 인물이다. 1895년 일제에 의한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 강제 시행으로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고, 이듬해 이강년이 문경에서 거의하자 김상태는 그와 형제지의를 맺고 이 의진의 중군장으로 활약하였다. 그리고 1905년 을사륵약이 체결되어 일제에게 국권을 강탈당하자, 김상태는 즉각 동지 정운경과 함께 제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동하다가 1907년 7월 이강년이 다시 거의하자 이 의진과 합진하였다. 이후 1908년 6월 4일 청풍 까지재에서 이강년 의병장이 피체되자 김상태 의병장은 군사 지휘권을 인계받아 대일항전을 지속하였다. 최성천은 이같은 김상태 의진에 1908년 6월 경부터 참여하여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이듬해 3월 김상태 의병장과 더불어 단양군 순사주재소를 습격하여 순사 2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같은 해 8월 25일에는 경북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에서 일본군 수비대의 밀정 권흑이의 밀고로 피체되었다가 탈출하여 같은 달 30일 권흑이를 처단하기도 하였다. 그는 10명 내지 20명 정도의 의병부대를 이끌고 김상태.한명만.정경태.윤국범 의진과 더불어 소백산을 근거지로 대일 항전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 이와 함께 그는 의병부대를 이끌고 1910년 1월 2일 경북 봉화군 물야면 서리에서, 그리고 2월 6일에는 같은 수곡리에서 군자금 수합활동을 하였다. 나아가 같은 해 3월 26일에는 20여 명의 의병부대를 이끌고 경북 예천군 왕천시장에서 군수금품을 징발하는 한편 일본인 산내은삼랑을 처단하였다. 이같은 의병활동을 하다가 피체되어 1910년 11월 12일 대구공소원에서 교수형을 받아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95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윤희선(尹熹善) 1872.11.26~1932.11.19 / 의병 / 건국훈장 애족장 일제는 1905년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하여 내정을 간섭하여 갔다. 나아가 1907년 헤이그특사사건을 빌미로 광무황제를 강제 퇴위시키고 정미7조약으로 대한제국의 내정을 장악한 후 정규군의 진위대와 시위대를 해산하였다. 1907년 이강년 의진에 참여하여 대일항전에 나섰다. 3월 제천에서 재봉기하여 경상, 강원, 충청도 일대를 넘나들며 혁혁한 전공을 세웠다. 원주진위대 해산병이 주축이 된 민긍호 의진과 합세하여 충주성을 공략하였고 추치전투, 죽령전투, 고리평전투, 백자동전투 등에서 적을 대파하였다. 이강년 의진에서 윤희선은 소모중군에 선임되어 활동하였다. 정부에서는 1998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