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page


186page

신태동(申泰東) 1902.03.20~1959.01.30 / 3.1운동 / 대통령 표창 1919년 3월 9일 청주농업학교 학생들이 주도하는 만세시위계획에 동참하여 경고문을 인쇄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당시 서울 중앙학교에 다니던 신영호는 고향 청주로 내려오는 길에 수원에서 '아(我) 이천만 동포에게 경고함'이라는 제목의 독립사상 고취 경고문을 입수하여 3월 9일 아침 청주농업학교 기숙사에 도착하였다. 이때 동교 학생이던 신태동은 임창수.이철우.박승하 등 학생들과 함께 김현구의 집으로 가서 함께 경고문 3백여 매를 등사하였다. 이로 인해 일경에 체포되어 1919년 4월 9일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에서 소위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3월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2005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국주(金國柱) 1891.04.03~1957.07.20 / 정의부 / 건국훈장 애족장 1908년 3월경 부친 김병철을 따라 중국 봉천성 유하현 삼원보로 망명하여 정착하였다. 1922년 8월에는 봉천성 환인현에서 채상덕.김동삼 등이 조직한 통의부에 가입하여 활동하였고, 1924년에는 통의부 제4중대의 3소대장으로 임명되어 무장대원 12명을 이끌고 소총과 권총 등으로 무장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듬해인 1925년 간도에서 조직된 정의부의 소대장으로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며 무력항쟁을 수행하다가 1945년 길림성 쌍성진에서 사망하였다. 정부에서는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조병일(曺秉一) 1886~1920.11.26 / 만주 방면 / 건국훈장 애국장 만주에서 독립군 지원활동을 전개하였다. 3.1운동을 계기로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무장투쟁론이 적극 대두되었으며, 모든 재만 동포들의 절대적인 지지 하에 70여 개의 독립군부대가 편성되었다. 특히 1920년 상반기에는 삼둔자전투, 봉오동전투 등 무장투쟁도 전개되어 일본군들을 자극하였다. 이에 일본은 훈춘사건을 일으켜 군대출병의 명분을 갖고 독립군을 토벌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기에 조병일은 길림성 연길현에서 독립운동을 적극 후원하다가 1920년 11월 26일, 연길현 양지촌에서 일본군에게 피살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96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186page

채찬(蔡燦) / 만주노령 방면 / 건국훈장 독립장 1905년 이강년을 따라 문경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제와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하여 한국이 강점당하자 남만지역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에서 군사학을 전공하였다. 졸업후에는 합니하 산골에서 백서농장을 만들고 둔전제로 군인을 양성하였다. 1919년 3.1독립운동 이후에는 서로군정서에 참가하여 모험대를 조직하고 적의 밀정을 처단하는데 주력하였다. 1920년 본부가 길림방면으로 이동한 후에는 신용관.김유하 등과 함께 의용군을 조직하여 제1중대장으로 활동하였다. 동년 5월에는 강계군 문옥면 주재소를 습격하였으며, 동년 7월에는 이덕창을 시켜 친일파인 후창군수 권응규를 사살하였다. 1921년에는 관전현에서 공격해오는 일경을 격퇴하였을 뿐만 아니라 관전.즙안.통화.임강.유하 등 각 현에 있는 친일기관인 일민단.보민회.강립단 수십개소를 습격하여 제거하였다. 또 의용단 결사대 수백명을 조직하여 강계 어뢰면 주재소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1922년에 대한통의부에 가담하여 제1중대장으로서 무장투쟁을 계속하였다. 1924년 5월에는 이의준.김창균에게 국경을 순시하던 재등실 총독을 저격하도록 지시하여 적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였다. 정부에서는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신응규(申應奎) 1884.01.01~1927.05.16 / 만주 방면 / 건국훈장 애국장 평산신씨 판사공파 30세손으로 조선말 만주지방으로 집을 떠나 그곳에서 나라잃음을 슬퍼하다가 1919년에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음력 8월 17일경 지나 장백현내에서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조직된 군비단에 가입 통신원으로서 불은반서의 송달일에 종사하였음. 다시 1920년 음력 3월 중순경 중국 임강현 삼도구 화개산에서 동일 목적으로 조직된 태극단에 가입하여 임강현 팔도구에서 이주선인을 권유하여 입단시키고 각입단자로부터 입단금을 징수하는 사무에 종사하였고 또한, 동현 5도구 부근의 동단원의 이동조사와 이주선인으로부터 군수품과 짚신 등을 징수하는 사무에 종사하였음. 다시 1921년 음력 10월중 위각 단체를 통일하여 광정단이라고 개칭하는데 동단의 민정 위언이 되어 임강현 팔도구 화산각지에서 이주선인의 이동조사와 군자군량의 징수 및 기타 사무에 종사하였음. 신응규는 위 최찬성등이 범행을 저지른다는 것을 알고 그의 의뢰를 받아 범행을 도울 의사로 동일 팔도구 자신이 집으로부터 김양률의 집까지 안내하여 범행을 용이하게 하였음. 신의주에서 일경에 체포되어 신의주 재판소에서 7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하다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 이감되어 수형생활중 회복 불능한 중병에 걸려서 가석방 되어 고향집에 들어와 순국하셨음. 정부에서는 2008년 8월 15일 광복절 63주년 기념식에서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여 장손자 신종무가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