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page

제4장 3·1운동 / 177 제4장 3‧1운동 제 1 절 3‧1운동의 발발과 지방확산 1. 3‧1운동이 일어난 배경과 계기 일제에 대한 한민족의 저항은 1910년 일제 강점기에 들면서도 결코 위축되지 않고 그대로 이어졌다. 국내에서 펼쳐지던 의병항쟁은 비록 규 모가 작아졌지만 중소도시를 파고들거나 만주로 이동하여 무장독립투쟁 을 펼쳤다. 계몽운동도 도시를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만주지역 독립군 기지 건설에도 눈에 띌 만큼 성과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그러면서 이들 은 때가 오기를 기다렸다. 머지않아 국제적인 상황 변화, 즉 전쟁이 발발 할 것이고, 그럴 경우에 그 틈을 이용하여 우리가 독립을 성취할 수 있 는 기회가 오리라고 판단한 때문이다. 그렇게 기다리던 국제 정세의 변 화는 나라를 잃은 뒤 4년만인 1914년에 제1차 세계대전으로 나타났다. 세계대전이 일어나자, 독립운동은 갑자기 발빠른 변화를 보였다. 이상 설이 연해주에서 대한광복군정부大韓光復軍政府를 수립하기도 했고, 1915년 에 상해 중심의 인물들과 결합하여 신한혁명당新韓靑年黨을 조직하기도 했 다. 전쟁이 지속되자, 1917년 「대동단결선언大同團結宣言」이 발표되어 새로 운 정부수립에 대한 논의가 일어났다.1) 더구나 1918년 1월에 미국의 윌 슨 대통령이 제시한 ‘민족자결주의’라는 것이 독립운동계에 영향을 주기 도 했다. 이것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있을 마무리 방침으로 제시된 것인데, 민족의 장래를 그 민족 자신의 결정에 맡긴다는 것이 골자였다.2) 1) 趙東杰, 「臨時政府 樹立을 위한 1917년의 大同團結宣言」, 韓國民族主義의 成立 과 獨立運動史 硏究 , 지식산업사, 1989, 314-338쪽. 2)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내용 중 식민지 상태에 있던 약소민족에게 가장 주목을 받은 것은 제5조와 제14조였다. 그러나 민족자결주의는 당시 미국의 정책은
183page

제1절 3.1운동의 발발과 지방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