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page
174  향토  문화총서  @  돌 마  마을지( T)  한항빈(韓桓秘,  1715∼1764)  휘(譯)는 항빈(↑궐物)이고  자(字)는 사상(士常)이다. 양부(養父)인 숙  (폐)의 아우인 육(淸)의 장남(長男)으로 태어났으나 큰아버지인 숙(潤)이  퉁과(登科)한 후에  천연두(天然盧)로 급서(急遊)하자  대통(大統)을  장자  (長子)에게 이어받던 관습에 의하여  큰아버지에게  입양(入違)되었다. 유  소시(助少時)뿌터  근변호학(勳뺑好學)하여 문과급제(文科及第)하고 여  러  벼슬을 거쳐 정삼품(표三品) 당히관(堂下官)인  통훈대부(通訓大夫)로  숭차하여 삼등현령(三登縣令)으로  나가니 재촌 반가촌로(在村  班家村 老)들이, 사또의 팔 대조(八代祖)께서  삼등현령(三登縣令)을 하실  때에  선정치민(善政治民)과 제민구흘(濟民救j血)을  잘하시었고 학문도 높아  성현(聖賢)의  언행을  본보이셔서 현민(縣民)이  관장(官長)뀔 숭앙(뿜1~0)  하기를 자기부모를 대하듯 하였고,  영세불망비(永世不忘牌)와 송덕비  (煩德陣)가 세워져  있다며 안내(案內)하면서 팔대조(八代祖)의  위업(偉  業)을 본받으시라고  하여 선조(先祖)의  위덕(威德)을 지키기로  결심(決  心)하고  제민구흘(濟民救빼)과 선정치민(善政治民)을  하였더니  그 공훈  이  조정에 널떠 알려져서 통정대부(通政大夫)로 가자(加資)되었으나  벼  슬을  버리고  향리로 돌아와 학문연구에만  전념하며 문중서당에서 후학  (後學)을가르치다가일생을마치었다.  삼퉁현(三登縣)은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寶)에  기록을 보면, 사  (絲), 마(麻),  자초(앓草)와 천연동(天然銷)의  주산지이고 저(橫 닥나무)  가 많아서 물산(物옳)이  풍부(豊富)하고  평양(平壞)이  가η 뷰므로 조정  (朝廷)의  세도가(勢道家)들의 요구조건(要求條件)이  많은 곳이었다고 한  다.  이 지역(地域)에는 문묘(文願)와  사직단(社樓樓),  여단CR助혐),  성황사  (城團洞)등이 있어서사림(士林)이까다롭기도소문난곳이기에,웬만한  현령들은  견디기 힘든 기피지(던避地)였다고  한다,  그러나 좋은 업적을  남기고도  벼슬에 작은 미련도 없이  사직(蘇職)하고 향리(微里)로 낙향  (落했~)하였다.  특히 홀로계신 노모(老母)에  대한 효성이 지닥하여 원근지  양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