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page
사회 각부문의 민주화운동으로 발전하면서 서구적 제도의 틀을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정치 민주화 를 기본 목표로 설정하여 왔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었다 국가 권력의 정당성과 도덕성의 결여에 대 한 비판 내지는 대체로서의 민주화운동은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그 목표를 상실할 때까지 국가적 · 민족적 대의를표방하면서 사회운동의 주도권을행 사하였다. 이러한 민주회운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인가? 분석적으로 보면 민중과 계급의 대의를 위한 운동이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민족과 통일 을 위한 운동이기도 했다. 4. 19혁명 이후 민주회운동의 궤적은 이 두 운동의 흐름 을잘드러낸다. 4. 19혁명을주도한학생 세력은잠깐동안의 모색기를 거쳐 곧이 어 분단 체제의 극복과 민족 통일을 위한 또 다른 정치 투쟁의 영역에 헌신하였다. 민족운동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이 시기 미국에 대한 예속성을 비판하는 항의를 통 해서도 부분적으로 표출되었지만, ‘한일 국교 정상화’ 에 반대하면서 일본의 신식 민주의적 침략에 저항하였던 1964년 전반기의 6· 3운동을 통해서 본격화되었다. 이 시기에 민주화운동이 민족운동의 영역으로외연을확장하였음에도불구하고, 계급운동으로까지 관심의 범위를 넓히지 않았다. 6· 3 운동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 한민중적 항의의 잠재적 표현이었으며, 후반기에 들어와비합법 조직의 일부가노 동 계급의 정치화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고는 하더라도 그것을 명시적 형태 로 표출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민주회운동의 주류로부터 분리되어 있던 민중운 동은, 예컨대 노동운동에서 보듯이 경제 성장을 위한 국가 정책의 일환으로 일방적 으로 시장에 편입된 상태에서 1960년대 후반에 들어와 점차 정치 투쟁의 성격을 띤 자생의 저항 형태들을 발전시켜 나갔다. 민주회운동이 자생의 저항과 결합된 계기는 1970년대 초반에 일어난 두 사건이 제공하였다. 1970년 11월 전태일의 분신자살 사건과 1971년 8월의 ‘광주대단지 사 건’ 이 그것이다. 지역의 바깥에서 지배 블록에 의해서는 ‘광주대단지 폭동사건’ 으 로, 지역 안에서는 ‘광주대단지 투쟁’ 으로불리는 이 사건은 한국 근대사에서 지역 안에서는 물론이고 전국적 차원에도 심대한 영횡탤 미쳤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 다.2 전국의 차원에서 보면 그 이전까지의 자생적인 저항 형태가 민주화운동과 결 검은 연기에 휩싸인 광주대단 지(1971) 제1편-정의사회를위한행동, 민주화운동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