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8page
J「! , c..I 』 ? ”‘ .. ’% 싸 ; ‘’.,.”---、 「 그러나 이 과정에는 1970년대 중후반부터 시작된 종교 단체의 노동자 교육과 조 직화, 야학 퉁학생 활동가들의 헌신적 노력이 있었다. 성남 지역의 노동운동은 1987년 노동자 대투쟁에서 폭발하였다. 수도권에서 가 장 조직적이고 격렬하게 진행되었던 대투쟁이었다. 그러나 1990년대 초반을 지나 면서 성남 지역의 노동운동은다른 지역에 비해 급속한 쇠락을 경험하였으며 이런 흐름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외환위기 이후 산별 노조로 전환하고 노동자 진보 정당을 결성하려는 장기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남 지역의 노동운동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많은과제에부딪쳐 있는것으로보인다. 지난 40여 년 성남 지역 노동운동을주도한 지역적 특성은크게 네 가지로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운동이 형성되는 초기에 중소 영세 사업장 중심의 노동운동 으로 출발하였다는 점이다. 그 결과 노조의 조직 역량이 취의f 하였다. 1989년 이후 국가와사용자의 억압이 강화되고산업 구조변동의 압력이 높아지자성남지역의 노동운동은 급속히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공공서비스 노동조 합들이 중소 제조업 노조의 빈자리를 채웠으나 과거와 같은 활발한 노동운동을 되 살리지는못하고있다. 둘째, 지식인 활동가의 영향이 강했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광주대단지 사건의 영향속에서 주민교회와 산자교회, 그리고 만남의집 등 종교 단체들은 1980 년대까지 지역 노동운동의 산실로서 기능하였다. 또 서울 지역과 근접한 조건에서 서울 지역의 학생 활동가들의 활동이 활발하였다. 성남 지역의 6월 민주화운동과 노동자 대투쟁이 수도권에서 가장 조직적이고 격렬했던 데에는 이와 같은 조건이 작용하였다. 그리고 민주화 이후에 이런 경험과 노력은 지역 수준의 강한 시민사회 운동을 낳았고 1990년대 말 이후에는 진보정당운동으로도나타났다 셋째, 성남 지역 노동운동의 주요한 특정 중 하나는 노동운동과 통일운동의 결합 이었다. 통일운동의 뿌리는 1980년 광주항쟁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1980년대 초반 성남 지역 학생운동과 기독교 사회운동은 광주항쟁을 민족 문 제의 시각에서 해석하였고 곧 자주 민주 통일을 운동의 중심적인 기-치로 삼았다. 이와 같은 운동 적 경향은 1980년대 후반 이후 지역 사회 주체들 내부의 분화에도불구하고노동조 합과노동정당운동속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산별 노조 조직 변동과 지역 노조 운동의 구조적 약화는 1998년 이후 한국노동운동전반의문제점이다. 그런데성남지역에서는이와같은문제가보다 1 68 제7권 -민주주 의 민주 화운동과 시민사 회 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