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8page


158page

고채주 선생은, 경상남도 통영(統營) 사람이다. 1901년(광무 5)부터 1909년(융희 3)까지 미주(美洲)에서 동포의 단결을 위해 노력하다가 귀국했으며, 통영지방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그는 40세 되던 1901년, 서양의 문물을 배우고 익혀서 우리민족을 깨우치기로 결심하고 미국으로 건너가 1906년 6월 4일 교포인 송 건·홍정표·이묵원 등과 자강회(自强會)를 조직하여 총회장으로 송 건을 선임하였으며, 월보(月報)를 발행하는 등, 교포의 단결과 민족의식을 고취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1907년 9월 2일에는 하와이 지방에만 24개의 교포단체가 난립된 것을 보고, 각 단체의 대표들과 함께 호놀룰루에 모여 하와이 한인협성협회(韓人協成協會)를 발기하고 월보를 발행하였다. 1908년 하와이와 미주의 한인협회를 발전적으로 해체하여 이를 국민회(國民會)로 응집시키는 발기문을 초안하여, 1909년 2월 1일 국민회를 창립시켜 미주지역 동포의 단합체를 만드는 산파역으로 활동하는 등 민족의식을 함양하는데 노력하였다. 그후에 곧 특별 임무를 띠고 귀국하여 미주의 국민회의 국내 연락책으로 지하활동을 계속하였다. 1919년 3·1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자 동년 4월 2일 오후 3시 30분경, 강윤조(姜潤祚)·박상건(朴相建)과 함께 통영면 부도정(敷島町) 시장에서 수천명의 군중을 모아 놓고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이때 일본 경찰이 출동하여 소방차의 물펌프로 물을 뿌리며 제지하였으나, 굴하지 아니하고 모자를 벗어 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남은 500여명의 군중을 지휘하다가 체포되어 1919년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1년형이 확정되어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다가 심한 고문의 여독으로 병보석 중, 소생하지 못하고 이듬해에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자료출처 : 보훈처 공훈록
158page

이학이 선생은, 경남 통영(統營) 사람이다. 그는 통영면사무소(統營面事務所)에서 면서기(面書記)로 근무 중인 1919년 3월 초 3·1운동의 소식을 접하고 진평헌(陳平軒) 등 마을 청년 17명과 함께 비밀리에 만세운동을 추진하던 중 사전 발각되어 옥고를 치렀다. 통영의 만세운동은 서울에서 유학했던 학생이 3·1운동의 소식을 전하면서 비롯되었다. 면서기로 근무하면서도 평소 일제 식민지 통치의 부당성에 대하여 깊게 인식하며 항일의식을 길러가고 있던 이학이는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결심하고, 진평헌(陳平軒)·권남선(權南善)·김형기(金炯綺)·양재원(梁在元)·배익조(裵益祚) 등 청년 동지 17명과 함께 만세운동을 계획해 나갔다. 이들은 먼저 3월 9일 송정택의 사랑방에서 모여 만세의거를 협의한데 이어 3월 12일 재차 모임을 갖고 선언서의 기초, 운동의 방법 및 선언서의 배포 등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3월 13일 이학이는 자신이 군무하는 면사무소에 등사판과 함께 이웃 신양면사무소의 등사판까지 동원하여 '동포에게 격(檄)하노라'는 격문을 밤새워 1천 2백매 인쇄하였다. 그리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3월 14일 오전 1시 30분경 그는 강세제(姜世濟)·허장완(許章完) 등과 함께 등사판을 면사무소에 갖다 놓으려 갖다가 대기중인 일경에 붙잡히고 말았다. 이 때 일제는 일본인 상점에서 인쇄용지를 구입한 것이 단서가 되어 일경의 추격을 받았던 것이다. 이에 따라 만세운동 계획이 발각되면서 나머지 동지들도 오전 3시에 전원 일경에 체포되고 말았다. 그는 붙잡혀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1919년 4월 부산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고문의 여독으로 가출옥했으나, 1919년 9월에 순국하였다. 이학이의 장례는 5백여 명의 통영지역 학생과 청년, 유력자 및 상인 등이 참가함으로써 사실상 통영지역의 사회장(社會葬) 형식으로 치뤄졌으며, 이 지역 인사들의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기폭제가 되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 자료출처 : 보훈처 공훈록
158page

朝鮮 高采柱 之墓(조선 고채주 지묘)
158page

朝鮮 李學 墓(조선 이학 묘)
158page

삼열사의 나머지 한분 허장완선생의 묘소 모습은 옆 앨범을 같이 보시길...
158page

시청정문 앞산 애국지사 국간 김철호선생 공적비, 원문공원 삼열사묘비, 3.1운동기념비, 용남면 동달리(화삼리) 삼열사 허장완열사의 묘, 충무교회 3.1운동참여교회 기념동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