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page
민주노조와국가자본의 대립은 1989년 이후본격화되었다. 예컨대 1989년의 현 대중공업, 서울지하철 쟁의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약칭, 전교조) 탄압, 1990년 현대중 공업괴- KBS노조 파업 등 10여 년 동안 매년 대규모 쟁의가 발생하였다. 민주노조들 의 중심에는 전국의 지역민주노조협의회가 연대하여 1990년 결성한 전국노동조합 협의회가있었다 6공화국정부와자본은압도적인 물리력과이데올로기적 억압수 단을 동원하여 쟁의를 억압할 수 있었으나 민주노조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었다. 오히러 민주노조들은 탄압을 뚫고 1995년 한국노총과 대립하는 총연합 단체인 전 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약칭, 민주노총)을 구성히는 등 조직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그리고 민주노총을 중심으로 날치기 노동법 개정에 반대하는 1997년 겨울 총파업 을 성사시킴으로써 스스로 시민권을 회복하기에 이르렀다. 요컨대 1987년 노동 체 제 10년 동안 국가와자본의 민주노조 배제 전략은 역설적으로 민주노조의 조직력 을 크게 신장시키는 예기치 않은 결괴를초래하였다. 1987년 노동 체제 10년 동안 한국의 노동 자 들은 민주노조를 새로 결성할 수 있었 을 뿐만 아니라 임금 노동 조건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다. 전체 소득에서 노동자 들。l 차지히는 노동 소득 분배율이 크게 증가하였고 노동 조건과 생활 상태는 상당 한 정도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 모든 진전은 1997년 말 IMF 외환위기의 도래 이후 역전되기시작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현재까지 한국의 노동 상황을 상정하는 것은 정리 해고와 비정규 직 노동의 급속한 증가, 그리고 빈곤의 확대와 심화였다. 갑자기 닥친 심각한 경제 위기 속에서 노동지들은국가와자본이 요구하는 대규모의 정리 해고와 임금삭감, 그리고 노동 유연화 조치를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었다. 민주노총 퉁 노동운 동 세 력은 정리 해고 및 노동 유연화 반대운동으로 맞섰으나 그것은 극복하기 힘든 문제 였다. 전 사회적 고용 불안 문제는 기업 노조나 기업 노조의 연합체인 민주노총의 조직 역량으로 맞설 수 없는 문제였기 때문이었다. 조직 노동의 울타리 밖에서 진 행된비정규직 노동자들의 극한투쟁에 대해서도기존의 민주노조들은속수무책이 었다. 이런 조건에서 1998년 이후 민주노조운동은 두 가지의 새로운 전략적 대웅을 시작하였다. 그것은노동자정당 건설 운동과 산별 노조 전환운동이었다. 2013년현재의 시점에서 보았을떼노동정당건설 운동과산별 노조운동의 미래 는 그리 밝지 못하다. 2뻐년 건설된 민주노동당은 내부의 이념적 갈등과 조직 내 부 민주주의 문제로 말미암아 분당과 합당의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 또 2oo6년 대 150 제7권 민주주의-민주화운동과시인사회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