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page

134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 참 고 문 헌 ] [1] 김성기, 윤혜준. 2005. 문학소년 논리소녀를 만나다 1․2.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 김승환. 2005.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독서회 운영 현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65-83. [3] 김승환. 1999. 공공도서관의 독서진흥과 독서회 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0: 223-241. [4] 김승환. 2004. 독서토론의 활성화를 위한 독서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1-22. [5] 김은엽. 2011. 공공도서관의 꽃, ‘독서동아리’ 운영의 의의와 과제. 도서관문화, 52(9): 36-40. [6] 김은엽. 2012. 세월이 지나도 계속 읽히는 특별한 이유를 찾아. 라이브러리&리브로, 37: 62-63. [7] 김종구. 2006. ‘몸의 지식’을 생각하는 고전 읽기. 중등우리교육, 191: 78-83. [8] 김종성, 엄미진. 2010.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비블 리아학회지 , 21(2): 39-56. [9] 박숙자. 2012. 속물 교양의 탄생: 명작이라는 식민의 유령. 서울: 푸른역사. [10] 안인자, 윤석윤. 2013.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378-398. [11] 이숙현. 2008. 청소년 독서교육과 도서관의 역할. 푸른글터, 6: 12-24. [12] 이태동. 2001. 고전읽기, 인문적인 사색을 위해 영혼의 문을 여는 것. 월간 문화예술, 14-19. [13] 이황직. 2011. 고전읽기를 통한 교양교육의 혁신. 독서연구, 26: 517-548. [14] 정기용. 2010. 기적의 도서관: 정기용의 어린이 도서관. 서울: 현실문화연구. [15] 정여울. 2012. 정여울의 문학 멘토링. 서울: 이순. [16] 정여울. 2012. 정여울의 소설 읽는 시간. 서울: 자음과모음. [17] 정인모. 2007. 교양교육과 고전 읽기. 한국교양교육학회학술대회자료집, 131-140. [18] 존 테일러 개토. 2006. 교실의 고백. 이수영 옮김, 서울: 민들레. [19] “세계문학전집 춘추전국시대.” 2013. 기획회의, 341. 4.5: 16-49. [20] 한윤옥, 이연옥. 2008. 공공도서관 청소년 독서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128-154. [21] 홍인선. 2012. 청소년의 삶과 청소년 문학 독서의 의의. 교양교육연구, 6(3): 429-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