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page
14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먼저, 첫째로 국내 학술데이터베이스인 DBPIA에서 1998년에서 2012년까지 “독서”를 키워드로 검색한 자료를 대상으로 서지사항을 추출하여, 기본 분석을 실행하였다. 둘째, 여기서 추출된 1,574 건을 사용하여 KDC주제분류로 가장 많은 상위 3개 분야의 서지사항을 분석하고, 키워드로 프로파일 링 기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지적구조를 그렸다. 셋째, 지적구조에서 나타난 특징 및 차이점을 분석 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기본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1998년 이후로 독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2004년 이후 로는 급격히 건수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발행기관을 KDC분류 기준에 의해 나누었을 때 , 문헌정보학이 가장 많고, 한국문학 그리고 교육학 분야 순이다. 또한 이 3가지 분야가 전체 연구의 57%를 차지할 정도로 분야의 집중도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10종의 저널에 서 독서와 관련된 논문을 활발히 생산해 내고 있어, 결국 이 10종의 핵심 저널이 독서 관련 연구의 39%를 차지할 정도로 문헌정보학분야에서의 독서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집약적으로 진행되고 있 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도별 독서 관련 논문 발표 건수 및 추이를 보면 전체 논문 발행건수는 최근 들어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에 비해, 세 분야의 증가 추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한국문학 분야에 비해 교육학 분야가 다소 더 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 세 분야 이외의 분야에서도 독서에 대한 연구 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키워드 프로파일링 기법을 이용한 지적구조에 의하면,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독서에 필요한 독서 의 일반개념은 물론이고, 텍스트 자체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독서지도, 독서치료 및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분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문헌정보학에서 이루어지는 연구가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실행되어지고 있다 고 하겠다 . 특히,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에서 독서지도 및 연구가 특히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문학 분야에서는 연구영역 구분을 독서 대상 및 작품, 독서 및 독서법, 문학치료 및 교육, 그리 고 문학사회학으로 묶을 수 있다 . 각 내용을 살펴보면, 다른 분야와는 달리 독서지도나 독서 치료관련 연구와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보다는 독서매체인 문학적인 작품을 기본 텍스트로 하여 작품의 스토리나 구성, 독자와 관계, 문화 사회적인 부문으로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즉 독서의 텍스트자체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교육학 분야에서는 독서지도와 독서치료 뿐만 아니라 독서환경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됨을 보이 고 있다. 교육학 지적구조를 통해서 교육학 분야에서 하고 있는 독서관련 연구들은 주로 독서치료나 독서교육 일반 등 교육 관련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탐색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이점은 다른 분야와 달리 독서환경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언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이미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를 시도하고 있지만, 문학적인 관 점을 받아들여 독서 매체 및 텍스트와 독서 이론에 대한 연구를 깊이 있게 지속적으로 연구하여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