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page


138page

1939년 7월, 왜관철도노선 매립작업에 근로동원 되었던 대구사범학교 학생들 중 5학년생(7회)이 중심이 되어 평소 민족차별을 일삼던 악질 일인교유를 작업장에서 구타한 일이 있었다. 그 일이 있은 후 동교 4·3·2학년 학생들은 선배들의 항일저항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1939년 10월 초순에 각 기별로 윤독회를 조직하고 우리민족의 역사, 문학서적을 윤독하며 월 1, 2회 모임을 가졌다. 이때 동교 3학년생(9회)이던 그는 동년 10월 하순에 동교생 박효준·강두안·이태길·유흥수 등과 함께 항일민족의식을 담은 작품집을 간행하기로 뜻을 모으고, 윤독회를 통하여 원고를 수집하는 한편 방학 동안에도 귀향하지 않고 수집된 원고를 편집하여 1940년 1월에 〈반딧불〉이라는 책자를 간행하였는데 내용은 주로 민족의식과 항일정신을 고취하는 것들이었다. 책자는 약 200부를 발간하여 학생들에게 배부되었다. 이같은 윤독회를 중심으로 항일활동을 전개하던 이들은 당시의 국제정세를 분석하여 일제의 패망을 예견하게 되었고 다가온 조국독립에 대비하기 위해 보다 조직적인 활동을 펴기로 했다. 그리하여 1940년 11월 23일, 그는 박효준·이태길·강두안 등 위의 동지들과 함께 당시 대구 봉산정 소재 이태길의 하숙집에 모여 표면상 문예활동을 표방하는 항일학생결사 문예부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동지포섭과 비밀엄수 및 매주 토요일 작품감상 등을 운동방침으로 정하고 1940년 11월부터 1941년 3월 9일까지 약 9회의 모임을 갖고 민족문화 존중 및 항일의식을 고양하였다. 또한 동년 3월에는 기관지 「학생」을 발간하여 이를 부원들에게 배부하였다. 한편 문예부와는 별도로 동교내에 1941년 1월에 임굉 등의 주도로 비밀결사 「연구회」가 조직되어 「문예부」와 비슷한 활동을 전개하였는데 동회는 겉으로는 학술연구를 위장하면서 민족의식 앙양과 독립을 목적한 결사였다. 그런데 1941년 2월 그는 유흥수·권쾌복·배학보 등 15명과 함께 당시 대구시 대봉정 소재 유흥수의 하숙집에 모여 항일학생결사인 다혁당을 결성하였다. 다혁당은 이같이 문예부와 연구회의 조직을 계승·발전시킨 것으로서 교내조직에 국한하지 않고 대외적으로 확대하여 타교생 및 일반 사회인까지도 포섭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결사의 명칭도 당이라 했으며 조직으로는 당수, 부당수 아래 총무·학술·문예·연구·경기 등 각 부서를 두었다. 이때 그는 연구부 책임을 맡았다. 한편 다혁당은 비밀엄수 및 당원의 절대복종·주2회 회합과 하급생지도 등을 당규약으로 정하고, 1941년 3월부터 동년 5월까지 세차례 모임을 갖고 당의 활동상황과 조직확대에 관하여 협의하였다. 그리고 동교내 연습과 학생(주로 일본인)과 심상과 학생(대부분 조선인)에 대한 차별대우를 철폐시키는 방안도 토의하였다. 그런데 1941년 7월, 대구사범학교 윤독회의 간행물인 〈반딧불〉이 일경의 손에 들어가게 됨으로써 대구사범학교 비밀결사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그도 일경에 피체되었으며 그후 미결수로 2년여 동안 혹독한 고문을 당하다가 1943년 11월에 대전지방법원에서 징역 2년 6월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출처 : 보훈처 공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