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page
124 / 청송의 독립운동사 그후 신돌석의진은 1907년까지 일월산을 근거로 영양‧울진‧평해‧영해 등 경북 동북부와 강원도 남부 산간지대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다.220) 1907년 1월 3일 의병 300∼400명으로 울진읍 우편취급소를 습격 221)하는 등 7월 까지 영해‧영덕‧평해지방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222) 그리고 8월 20일 300명의 군사로 영양군 분파소와 군아 공략,223) 9월 7일경 삼척군 원동면 장호동의 일본어부 습격,224) 10월 12일 150여 명의 군사로 영해의 경무 분서 공격 225) 등이 그것이다. 1907년 11월부터 신돌석의진은 이강년의진과 연결하여 활동하는 한편, 전국연합의병부대全國聯合義兵部隊의 서울진공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북상 하였다. 11월부터 신돌석과 이강년이 이끄는 의병부대는 일월산에서 예천 에 이르는 지역에서 큰 세력을 떨치며 활동하였다. 강원‧경상‧충청도의 접경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던 이강년의진은 신돌석과 연합하여 11월 11일 신돌석은 200명으로 영월에서 진출하고, 이강년은 300명으로 영춘방면에 서 진격하여 순흥읍을 공격하였다.226) 한편, 12월 하순경에는 전국연합의 병부대의 서울진공작전에 참여하기 위해 12월말 영양군 수비면을 통과 강 원도 양구군에 도달하였다. 이미 도착한 연합의병부대의 민긍호‧이인영‧정 환하‧오영교 등과 1,200∼1,300명의 의병으로 1월 3일 양구수비대를 습격하 220)《皇城新聞》 光武 11년 2월 7일자, ‘三郡匪徒’;《大韓每日申報》 1907년 1월 11일자, ‘偵探義窟’. 221)《大韓每日申報》 1907년 1월 11일자, ‘義徒縛守’. 222) 김업이 「 판결」,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1, 452-453쪽. 223) 조선총독부경무국, 「暴徒史編輯資料」, 독립운동사자료집 제3집, 독립운동 사편찬위원회, 1971, 583쪽. 224) 박화준 「판결」,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1, 421쪽. 225) 조선총독부경무국, 「暴徒史編輯資料」, 독립운동사자료집 제3집, 독립운동 사편찬위원회, 1971, 612쪽. 226) 조선총독부경무국, 「暴徒史編輯資料」, 독립운동사자료집 제3집, 독립운 동사편찬위원회, 1971, 582쪽; <韓國暴徒蜂起의 件>,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1, 부록 1016-10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