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page
168 ∙ 한국독서교육학회지 제1권 제1호(2013) 여성상을 탈피한 새로운 여성상인 동시에, 한국의 전통적인 여성들이 바라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버리데기가 자신의 의지에 의해 자아실현에 도달하는 모습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억눌려 있던 전통적인 여성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제공해주며, 한국 여성상의 새로운 모습을 드러내는 문학작품으로서 가치를 지니는 것(안수연 2008, 60)과 정조의 효사상과 연결되어 선정하게 되었다. <버리데기>는 환상세계와 현실사회를 텍스트의 배치와 여백의 처리로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남장을 한 버리데기는 남성적 사회에서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개척하려는 주인공의 의지를 보여 준다(박순용 2010, 94)고 판단되었 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가시내>는 2000년 이후 출간된 옛이야기 그림 책 중 수원의 상징은 나혜석과 같은 신여성상이 건강하게 나온 그림책을 찾던 중 <가시내>는 부드러운 선과 날카로운 선의 대비,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의 대비를 통해 남녀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였고, 원문을 과감하게 생략하 는 대신 새로운 이야기를 추가하여, 남성 권력의 핵심인 힘에 도전하여 성과를 거두는 여성을 그리고 있다 . 특히 <가시내>는 민화 형식의 그림이 눈에 띄는데 옛이야기와 민화는 대중예술, 민중예술이라는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한 형제와도 같은 유사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이 둘은 보편성과 무명성을 공통점 으로 하며 실용적 목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오늘날까지 전해져 온 우리 대중문화유산의 보고(안수연 2008, 60)라서 학생들에게 민화에 대한 교육적 효과도 있다. 특히 옛이야기 그림책 작가들은 음악으로 치면 지휘자에 견줄 만하다.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악기의 편성에 따라, 분위기나 템포에 따라 전혀 다른 감동을 주는 새로운 곡으로 태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지휘자, 곧 그림책 작가들의 개성 있는 해석(박순용 2010, 94)을 느낄 수 있는 기회도 될 것이다. 3) 스토리텔링 단순히 그림책을 읽어주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게 이야기를 덧붙이기도 하고 빼기도 하여 그림책 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지역공동체의식이 배양되고 책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2.2.5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의 조직(Organization of content & activities) 대상학생 수가 많은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주로 강의형식으로 진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더 내용 안에서 다양한 이야기들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탄탄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단원 학습내용과 활동 수원에서 만나는 이야기 ∙사진자료를 이용하여 정조가 수원을 새로운 읍치로 삼을 때부터 일제 감정기, 한국전쟁에 서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스토리텔링 형식으로 진행한다(중요강조사항: 수원은 정조가 꿈꾸는 신도시였는데, 그곳에서 태어난 나혜석(신여성의 상징), 홍난파, 장한나가 자신의 꿈을 펼쳐 나가고 있고, 이제 강의를 듣고 있는 여러분의 차례라는 것을 알린다). 수원! 꿈을 꾸는 공간 ∙그림 그리는 아이 김홍도의 내용은 화가가 되는 것이 꿈인 김홍도의 어린 시절 이야기 이다. 그림책 뒤에 김홍도가 그린 ‘규장각도’와 ‘낙남헌양로연도’ 그림을 보여주며 김홍도는 정조가 꿈을 실현한 것(규장각과 화성행차)을 그림으로 기록하면서 자신의 꿈도 함께 실현했다는 것을 강조한다. <표 10> 단원 별 프로그램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