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page

3)참전기념 탑과 비석 31) 참전기념 탑과 비석은 국가수호시설물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시설 물이 다.특히 두 기관의 내용을 비교할 때 보훈처에서는 기념물에 ‘~비’라고 되어 있더라도 형태 가 탑이면 탑으로 등록되어 있어 군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현황과 비교하기란 상당히 곤 란하다.탑의 경우에는 호국 영령을 포괄하여 추모하는 충혼탑이 대부분이다.보훈처 현황을 기준으로 할 경우 강원도의 모든 시 ․군에는 각각 1개에서 최대 5개의 시설물이 설치되어 있다.강원도에서 충혼탑이 가장 많은 지역은 삼척시로 하장면,근덕면,원덕읍(전몰군경 충 혼탑),남양동,도계면 등에 하나씩 건립되어 있다. 보훈처의 충혼탑 현황은 대부분 군의 전적기념물정보시스템에 포함되어 있지만 정성 군과 영월군의 충혼탑 등이 일부 누락되어 있기도 하다.군 정보시스템의 경우에는 6·25전쟁과 대 간첩작전 관련 충혼탑이외에 순직한 장병을 선양하는 29개의 충혼비가 있다.이중 9개의 비 석은 특정인이 아닌 일반적인 내용을 추모하고 있다.9개의 비석은 양구군에 있는 6·25참전 충훈비,인제군의 무명용사 충혼비,남면 충현비,고성군의 6·25충혼비와 동해시 호국유공자 명비,속초시의 통천군 순국동지 충혼비,삼척시의 순국사 충혼비 등으로 6·25참전 장병을 기념하고 있다. 순직비와 관련하여 인제군에 있는 “순직장병 충혼비” 32) 는 폭설로 참사를 당한 5사단 59명 의 명복을 추모하는 위령비이지만 보훈처 국가수호시설물에도 등록되어 있다.이외 20여 개 의 충혼비는 특정인을 지칭하고 있는 것으로 6·25전쟁에서부터 1996년까지 임무수행 중 순 직한 장병의 위령비이다. 비석의 경우 군에서는 전적비,전공비,현충비,참전비,추모비,공덕비,유령비,순직비 등 내용에 따라 세분화하여 분류하고 있다.이중 참전기념물에 가장 적합한 전적비 및 전승비의 경우에는 두 기관이 거의 동일하게 등록되어 있다.군에서 전적비로 분류하여 지정하고 있는 것은 39개로 대부분 보훈처에도 등록되어 있지만 [표4]에서와 같이 화천군에 있는 대간첩 전 적비와 철원군에 있는 학도병 전적비,춘천시 신동에 있는 춘천대첩비와 강릉지구 포병전공 비 등 5개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군에서도 2개의 전적비가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 4)UN 군 참전기념물 강원도지역의 전적기념물은 특정인의 추모비 또는 위령비를 제외하고는 군과 보훈처의 현 황이 대부분 일치하고 있다.그러나 UN참전군 관련 기념물의 경우에는 국가보훈처 현충정보 서비스에 전혀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전적기념물관리시스템에 등록된 강원도지역의 UN참 전국 관련 기념물은 UN참전비로 분류된 것이 11개가 33) 있고 공덕비에 1개가 있지만 보훈처 의 현충정보서비스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았다 . 31) 강원도지역의 탑과 비석은 붙임의 참고자료를 참고하라. 32) 1954년 2m의 폭설에 의해 순직한 장병을 추모하기 위해 1956년에 제5사단에서 건립하였다. 33) 군의 전적기념물관리시스템에 UN참전 기념비는 총 56건이 등록되어 있고 이중 강원도 지역에 11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