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page

2022년12월31일 토요일 12 (제192호) 기획 충북영동군매곡면유전리536소재세천재(永同歲薦齋)」는충주박씨황간파(忠州朴氏黃澗派)박세필(朴世弼)이169 1년에처음지은재실(齋室)로,그의부친인박 지찬과아들인박수조까지3대를제향하는공간이자후손들의강학을위한공간이다.충주박씨황간파는16세기초박 지(朴址)가내동(內洞)에입향한것으로시작 되었고,많은후손들이벼슬을하고효행등으로이름을떨치면서,문중의거주영역이주변으로확장되었다.이에박세 필은세천재를짓고,제향과강학을위한공간 으로활용하였는데,이러한역사는면면히이어져광복후에도독립운동가성하식(成夏植)이훈장을맡아교육을했고 ,초대부통령인이시영(李始榮)이시국강연회 를개최하기도하였다.충청지역을대표하는재실건축의전형성과지역성을잘보존하고있으며,창건당시의건축부 재를포함하여간결한형식의평면구성과장 식을유지함으로써영동지역유교문화연구와조선중기이후향촌사회의변동,건축형식의변화를추적하는데중요 한사료가될것으로보인다.이상과같은역사 적,건축적가치를고려할때,국가지정문화재로서의가치가충분한것으로판단지난달25일국가보물로지정되어소 개해본다. 영동세천재(歲薦齋)가위치한영동군은충청북도 최남단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경상북도 김천시와 상주시,서쪽은충청남도금산군,남쪽은전라북도무 주군,북쪽은충청북도옥천군에접하고있다.이지역 에서는 탁자 모양의 북방식 고인돌이 발견되어 고대 로부터문화가전파된지역으로파악된다. 영동군의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은 영동 영국사 승 탑, 영동 영국사 삼층석탑,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영동영국사망탑봉삼층석탑,영동신항리삼존불입 상,영동반야사삼층석탑으로서모두불교관련석조 문화재이다. 그러나 중요민속문화재와 충청북도 지 방문화재로지정된건조물은고가,누정,향교,재실, 사당등조선시대유교건축이다수포함된다.향교건 축으로는황간면남성리의황간향교(黃澗鄕校,충청 북도 유형문화재 제100호)가 있다. 서당과 사우로는 상촌면임산리의 영모재(永慕齋,충청북도 유형문화 재제176호)와삼괴당(三槐堂,충청북도기념물제22 호),매곡면 노천리의 사로당(四老堂,충청북도 유형 문화재제151호)·흥학당(興學堂, 충청북도 유형문화 재제152호)·봉유재(奉裕齋,충청북도유형문화재제 402호),옥전리의무첨재(無添齋,충청북도유형문화 재제172호)등이있다.누정은황간면남성리의영동 가학루(永同駕鶴樓,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호), 상촌면 하도대리의영동 화수루(永同花樹樓, 충청북 도 유형문화재 제165호), 유곡리의 고반대(考槃臺) 등이있다.이들은모두영동지역에서충주박씨가문 의 성장과 관련한 유교시설이라는 점에서 영동 세천 재와직간접적으로연계되어있다. 영동 세천재는 매곡에서 김천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하여 배산의 산세가 웅장하고 좌우측에 좌청 룡과 우백호가 자리잡았으며 전면에 어촌천이 동 에서서쪽으로흘러초강천과만나는지역에있다. 괘방령을넘으면김천에이르고말씨도경상도말씨 가 두드러지므로 황간,매곡,상촌,추풍령은 지리적으 로김천의영향권아래있다고이야기된다.세천재의오 른쪽에는 내오곡 마을이, 왼쪽에는 유전 마을이 있다. 유전리(楡田里)는 매곡면의 중심부에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내오곡리(內梧谷里), 외오곡 리(外梧谷里)와 대노천리(大老川里) 일부, 매곡면의 곤덕리(坤德里)일부를 병합하여 유전리가 되었다.유 전(楡田)은 느랏이라고도 하는데,지대가 평평하고 느 려서밭이많은데서비롯했다. 또한 오곡(梧谷)은 오 리실로도불리며,곤덕(坤德)은옛곤천사와관련된 지명으로충주박씨일문의세거지이기도하다. 1)충주박씨의정착과세거지확장 「영동군 세거성씨 정착 소사 - 충주박씨 황간 파(永同郡世居姓氏定着小史-忠州朴氏黃澗派)」 (영동향토사연구회)에 따르면, 충주박씨 황간파(黃 澗派)의 파조(派祖)는 장사랑공(將仕郞公) 박지(朴 址)이다.그의 아버지는 영동현감(永同縣監)을 지낸 박원직(朴原直)으로서, 임지인 영동에서 박지를 낳 았다.그러나박지가12세때45세로일찍생을마감했 다.마침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견계달(甄季達)이 박원직과 각별한 교분이 있었기 때문에 박지를 맡아 15세 때 사위로 삼고 황간현 내동에 터를 잡고 살게 하 였다. 이에 따라 박지는 황간파의 입향조가 되었다. 븮세종실록븯지리지(1454)에는황간현에호수가308호 이고 전체인구가 742명으로 토성(土姓)은 한(韓)·견 (甄)·손(孫)·곽(郭)·심(沈)·전(全)씨이고,소멸된성 씨는 백씨(白)이며, 속성은 이(李)·김(金)·임(林)이 있다고 기록되었다. 박지를 사위로 맞은 견(甄)씨는 황간현의 토성이었음을 알 수 있지만 박(朴)씨는 아 직 등장하지 않는다. 이후 븮신증동국여지승람븯(1530) 에도거의동일한기록이반복되어,외래성인박씨가 아직충분히정착하지못한상황을반영하고있다.그 러나18세기중반의상황을기록한븮여지도서(輿地圖 書)븯에는 박(朴)·송(宋)·남(南)·오(吳)·정(鄭)·이 (李)·윤(尹)·김(金)·배(裵)·곽(郭)·장(張)·육(陸)· 성(成)·변(卞)·서(徐)·민(閔)·임(林)·전(全)등세거 성씨를모두기재했는데,여기에박씨가등장하게된 다.장사랑공박지는16세기전반기에황간의내동(內 洞)에 입향하여 세거지를 형성했다. 그의 아들인 박 성건(朴成楗)은 중종 39년(1544)에 문과에 급제하여 옥천군수(沃川郡守)와 영천부사(永川府使), 청주목 사(淸州牧使)를 지냈고, 또 다른 아들 박성량(朴成 樑) 역시 중종대에 안주목사를 지냈다. 박성건의 아 들 박이룡(朴以龍)은 대를 이어 선조 10년(1577)에 과거에급제하여벼슬길에올랐다.특히박이룡은임 진왜란이발발하자고향으로내려와1,500여 명의의 병을 모아 왜군과 200여 회의 대규모 전투를 치른 것 으로 유명하다. 또한 17세기에 박유동(朴惟棟)은 김 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송시열(宋時烈), 송준길 (宋俊吉)등과 교유하면서학문을닦았고,벼슬을지 낸 뒤 귀향하여 교육에 힘썼으며, 저서로 븮일석유고 (一石遺稿)븯를 남겼다.이와 같은 과정에서 충주박씨 의세력이확장되고세거지가늘어났다.충주박씨황 간파의 많은 후손이 번성하게 되자 장척리(長尺里), 유전리,내오곡,금곡리로세거지가확장되었고,공수 리, 어촌리를 넘어 옛 황간 땅인 지금의 경상북도 김 천시의 대항면, 봉산면, 김천 시내까지 널리 퍼지게 되었다.충주 박씨 황간파는 근대기를 지나1960년 경 까지도매곡면에460여호가집성촌을이루었으나현 재는 매곡면 노천리에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형편이 다. 인구주택총조사 (2000)에 따르면, 영동군에 가장 많이살고있는성씨는밀양박씨와김해김씨이다.충 주 박씨는 114가구로 전체 성씨 중 인구 규모로 37번 째를차지하고있다. 2)영동세천재의건축연혁 영동 세천재의 건축 연혁은 통정공(通政公) 박세 필(朴世弼)의 분가 입향과 관련된다. 자세한 기록으 로 후손 박우석(朴遇錫)이 2003년 9월에 작성한 세천 재중수기를참고할수있다.중수기에는세천재가자 리잡은 오곡리(五谷里),속칭 오리실 마을이 명산 소 백산의정기를받은속리산지맥을따라동에는눌이 산(訥伊山), 남에는 황악산(黃岳山), 서에는 월류봉 (月留峯), 북에는 백화산(白華山)으로 둘러싸여 있 으며, 산이 깊고 물이 맑으며 가뭄과 재해가 드문 곳 으로묘사되어있다.입향의계기는박세필의부친선 무랑(宣務郞)박지찬(朴之燦)이병자호란후자리를 정해둘째아들박세필을분가시킨것이다.입향시기 는 병자호란 후라고 하였으니 1630년대 후반 이후이 다. 박세필은 오리실에 정착하고 오죽당(梧竹堂)을 건축하여제자를모아강학하였으며,이후숙종대신 미년(1691)에격식을갖춘전각으로정면4칸,측면3 칸의 세천재를 창건하니 형 세원(世元)과 동생 세주 (世舟)가함께칭송했다고한다.즉,세천재는박세필 의오리실입향후강학을위해건축했던오죽당을크 게 확장한 건축이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오죽당 자 리에지은것인지별도로신축한것인지는확인할수 없다.세천재의 창건 연대는 2022년에 실시한 목부재 연륜연대측정(『국가지정문화재(보물)지정 자료보 고서 영동 세천재』, 문화재청·영동군, 2022.06.)을 통 해 재확인되었다.대량3점,충량 2점,기둥 20점,기둥 동바리 7점의 총 32점의 주요 목부재를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종분석 결과, 분석대상 부재 32점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대량 3점,충 량2점,기둥5점에대해연륜연대및방사성탄소연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량 1점, 기둥 2점의 연륜패턴 이 일치하였으며 최외각 연륜에 1688년이 부여되었 다.이에따라,대청중앙의대량,대청중앙의후면기 둥,북서쪽 귓기둥은 1689년 직후에 벌채되어 세천재 건축에사용되었을것이유력하다.특히대량과외곽 기둥의 연대가 같은 시기로 나타나므로 전체적으로 건립당시의규모와형식이유지된것으로추정할수 있다.이는 세천재의 창건 연대를 1691년으로 기록한 중건기등의기록에부합한다.마찬가지방식으로분 석한결과,1737-1748년사이에양쪽대량을교체하였 고, 1750-1754년 사이에 전면 기둥과 동쪽 내부 기둥 을교체하였으며,1766-1769년사이에두충량과서쪽 내부기둥을 교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천재의 중 요성이증대된시점은건축후50여년이지난18세기 중반에 신선공(神仙公) 박중매(朴重梅)가 선무랑공 박지찬의묘소를내동에서내오곡으로면례(緬禮:무 덤을옮겨 장사(葬事)를 다시 지냄)하였던 사건이다. 박중매는 호가 백운당(白雲堂)이며, 글씨를 잘 쓰는 것으로 유명하였는데, 백운정(白雲亭)을 짓고 도인 (導引:신체와호흡을다루는수행법)과벽곡( 黴 穀:곡 식을 먹지 않는 수행법)의 도가의 술법을 구사하여 사람들이 신선이라 칭했던 기이한 인물이다. 박중매 가선조박지찬의묘소를오리실로이장함으로써,세 천재는 선무랑공 박지찬, 통정공 박세필, 통덕랑공 (通德郞公) 박수소(朴守素) 3대를 제사지내는 천향 재숙지소(薦享齋宿之所)로거듭나게되었다.자제들 을 모아 교육하는 강학연마지도량(講學硏磨之道場) 의기능이계승된것은당연하다.제사일은매년음력 10월 22일이다.세천재 대청에 걸린 세천재기는 세천 재중수 기를 쓴 11세손 박 우석 이 2005년 에 쓴 것인 데, 여기서는 최초로 당을 세운 것이 숭정원년(162 8)이라고 언급했다. 최초의 당이 박세필이 지은 오 죽당을가리키는수있으나,두건물간의시간간격 이 커서 동 일인 이 지 은 건물 로 보 기는 어 렵다 . 또 한 숭정원년은병자호란이전이므로박세필이오리실 에 입향하기 이전이 된다. 더구나 박지찬의 묘소를 오리실로 이장한 것은 18세기의 일이므로 누구의 천향을 위한 재실이었는지도 불분명해진다. 그러 므로 기문에 등장하는 숭정원년의 당은 내곡의 재 실일 가능성이 있으며, 박지찬, 박세필, 박수조 3인 을 제 향하 는 오리 실의 세 천재 와는 크 게 관 련이 없 어 보인다. 세천제중수기(2003)에는 20세기 초에 있었던 큰 중수 공사를 기록했다. 갑진(甲辰)에서 을사(乙巳) 년간(1904-1905)에 큰 공사가 있었다 는 사실이 매년 천향시 구전으로 전해오고 있었다 고한다.광복후세천재에는매곡면유전리가고향 인 독립운동가 성하식(成夏植, 1881-1958)이 머무 르며 교육을 했고,초대 부통령인 이시영(李始榮,1 868-1953)이황간,매곡,상촌의유림(儒林)을모아 시국강연회를했다는이야기가전한다. 중수기 에서 한국전쟁으로 병화가 닥쳤지만,다행 히 건물이 보존되어상량문이남았다고하니,1905년 에 중수된 세천재가 약 100년간 유지된 것으로 보인 다. 세천재는 1999년에 충청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 되었다.이에따라국비와지방비가투입되어전면적 인 중수 공사가 실시되었다. 2000년 8월 19일 착공하 여2002년8월7일재각이준공되었고,이어2003년과 2004년에 관리사,화장실,배수로,초가,담장,석축이 설치또는보수되었다.이밖에관련서류를통해2010년, 2011년,2016년,2019년의수리공사를 확인할 수 있다. 3)영동세천재의건축적특징 영동 세천재는 유전리 마을과 내오곡 마을 사이의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좌향은 간좌곤향(艮坐坤 向)으로 남서쪽을 바라보고 있다. 현재 도로에서 세 천재까지는120미터의진입로가있으며넓은마당으 로 들어서면 마당 안쪽으로 재실로 들어가는 사주문 이 있고, 문을지나 안쪽에 재실이 자리하고 있다. 세 천재경내는경사지에자리하고있어두개의단으로 나뉜다. 사주문을 지나면 하부단에 진입하고 재실은 상부단에올라서있다.재실마당에는건립당시부터 있었던것으로보이는배롱나무세그루가있어서오 랜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동쪽 온돌방 앞에는 큰바위가드러나서난간에서내려다볼수있다.배롱 나무와바위등은풍수적의미와조경의효과를잘표 현하고 있다.세천재 건물은 정면 4칸,측면 3칸 규모 의장방형평면으로크기는정면12.4m,측면5.29m규 모로 이루어져 있다.용척을추정하면약310mm를한 자로 설정하여,전면은 매칸 10척씩 총 40척,측면은 가 운데칸이7척이고전후퇴칸을각각5척으로구성했다. 일반적인주택의한칸이8척내외,퇴칸이4척내외 로구성되는것에비해웅장한규모를과시하고있다. 퇴칸을 5척으로 잡았기 때문에 처마 내밀기도 5척에 육박하여 거대한 팔작지붕이 재실로서의 위엄을 드 러내고있다.지붕기와는중와에막새로마무리했지 만 단부를 홑처마로 구성하여 장엄하지만 고졸한 느 낌을 주며, 재실 건축의 경건한 이미지가 부각된다. 기단은자연석으로외벌대기단을둘렀다.주초석또 한자연석을이용하였다.건물외곽의기둥은모두원 형 단면이며 지름은 약 350㎜이다. 건물의 안쪽에는 기둥을생략했지만온돌방의모퉁이가되는곳에만2 80㎜×180㎜의 납작한 네모기둥을 설치했다. 연륜연 대분석에서 대청 중앙의 후면 기둥과 북서쪽 귓기둥 이 1689년 직후에 벌채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전반적 인골격은창건당시의상황을유지하고있는것으로 판단된다.평면에서전면4칸중가운데2칸은통칸대 청이고 양쪽에는 앞으로 퇴칸을 비우고 온돌방을 두 었다.대청에는 우물마루를 설치했다.대청 배면부에 판문이2개소설치되어있고바깥으로쪽마루를내어 장마루를설치했다.특이한점은건물의정면에난간 을설치한것인데,대청으로올라서는왼쪽에서세번 째칸을제외한모든칸에평난간을설치했다.평난간 은머름형으로간결하게처리했으며풍혈이있다.대 청의 좌우 온돌방 쪽에는 네 짝 들어열개문을설치했 다.들어열개문에서가운데한짝을열고전체를위로 달아매면대청과방을크게하나로이용할수있도록 했다. 가운데 여는 문은 세살 무늬로, 좌우의 드는문 은격자무늬로되어있는데,원형을확인해볼필요가 있다. 마당에서 대청으로 오르는 전면계단은 막돌로 되어있으나1999년조사기록에따르면원래목재원 형통나무계단이었다는증언이있다.온돌방에는천 장에 고미반자를 설치하여 추운 기후에 대비하였다. 고미반자는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따라 추운 지역 에서자주발견되며지붕아래다시천장을가설하여 보온효과를높일수있는장치이다.온돌방의전면과 측면에설치된문을낮고작게계획한것도기후의영 향으로 볼 수 있다. 온돌방 후면에는 각각 높은 벽장 을설치하여달아내었는데,밖으로두자가량돌출한 벽장은 초석을 갖춘 샛기둥으로 견고하게 지지된다. 두벽장사이에는대청후면의쪽마루가가설되어일 체화된입면을형성하고있다.벽장하부에는아궁이 가설치되었고양쪽방측면으로낮은굴뚝이설치되 었다.측면으로출입하는세살문은특히낮고작아서 그야말로 쪽문의 모습이다. 세천재의 가구는 무고주 5량가로 전면 기둥과 배면 기둥을 한 번에 건너지르 는 긴 대량이 사용되었다. 대청에서 보이는 세 개의 대량중가운데것이17세기말창건당시의목재로추 정되고,나머지두개는18세기에교체된것으로추정 된다. 좌우 두 개의 대량 아래는 온돌방의 벽체 모퉁 이를형성하기위해납작한단면의사각기둥이삽입 되었다. 대량의 상부에는 팔작지붕을 구성하기 위해 충량이 걸쳐지고 충량 위에 동자주가 올라가는 고풍 스러운기법을취했다.충량의단부는장식없이직절 하였다.충량위동자주에는보아지를결구하여종량 을 받쳤다. 좌우 종량 위로는 다시 동자주를 세웠고, 대청 중앙의 종량 위에는동자주가 아닌 판대공을 설 치하였다.종도리와중도리,처마도리는모두하부에 견실한장혀를받쳤다.처마도리장혀아래에는소로 를수장해서창방과연결하였다.외곽을두르는원기 둥상부는익공식짜임을구성했다.창방과직교해서 초익공을 짜 맞춘 후 주두를 올려 대들보를 받쳤다. 초익공의 후면은 보아지로 작용하게 하고, 전면으로 는 초가지에 연봉을 초각했다. 외부로 드러난 보머리 에는홈을파고봉두를끼워넣어이익공처럼보이도 록장식했다.익공의형태가조금씩달라서수리과정 에서 교체가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세천재 좌측 전방아래로는세천재보다대지높이가한단낮은위 치에관리사와화장실이각각한동씩자리하고있고 그주변으로초가담장을둘렀다.재실영역과관리영 역의사이에는협문으로일각문을설치하여통행이이 루어진다.관리영역의건물및 담장은 모두 초가를 이 었으며수리공사과정에서새로지은것들이다. 영동 세천재는 충주박씨 황간파 박세필이 1691년 에 처음 지은 재실로서, 그의 부친 박지찬과 아들 박 수조까지3대를천향하는공간이면서후손들의강학 을위한공간으로이용되었다.영동세천재는다음과 같은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판단된다.첫째, 충주 박씨 황간파문중의역사를실증하고있다.충주박씨황간 파는16세기초박지(朴址)가내동(內洞)에입향하는 것으로 시작했고, 그의 아들 박성건(朴成楗)과 박성 량(朴成樑)등후손들이벼슬을하고의열,효행등으 로이름을떨치면서성장했다.이에따라충주박씨의 세거지는 내동을 넘어 주변으로 확장되었다. 박지의 5대손인 박지찬(朴之燦)은 병자호란을 겪은 17세기 중엽초강천동쪽의오리실에둘째아들박세필(朴世 弼)을분가시켰다. 박세필은 1691년에 세천재를 짓고 강학을위한공간으로 이용했다. 이후 18-99 -세기 중반에 박지찬의 묘소를 내동에서 내오곡(오리실) 으 로 이장 하게 되면 서 세천 재의 재 실 기능이 강화 되어,박지찬,박세필,박수소3대를천향하게되었다. 강학 기능도 면면히 이어져 광복 후에도 독립운동가 성하식(成夏植)이 훈장을 맡아 교육을 했고,초대 부 통령인이시영(李始榮)이시국강연회를개최하였다. 둘째,재실건축의전형성과지역성을잘보존하고있 는 작품이다. 세천재는 주요 목부재의 연륜연대분석 의 결과 대청 중앙의 대량과 후면 기둥 2주가 1691년 창건당시의부재로확인되어규모와형식이큰변형 없이 현재까지 보존된 건축물로 판단된다. 본채는부 엌이나창고등부속시설이재실건축에결합되지않 고중앙의대청과좌우의방으로만구성되었다.전면 툇마루에는 난간을 둘러 재실로서의 격식을 표현하 고있으며,기둥위에는초익공식짜임을바탕으로보 머리에봉두를끼워넣어화려함을더했다.웅장한팔 작지붕은 홑처마로 처리하여 화려하면서도 절제된 유교건축을표현했다.외부로통하는문을낮게내서 외풍에 대비한 점, 고미반자의 단열 효과, 낮게 시공 된굴뚝과연도등은추운산지지역에적응하기위한 지역색의 반영으로 평가된다.셋째, 영동지역 유교 문화연구의주요한사료이다.영동지역의충주박 씨 재 실 및 강당 건축 은 세 천재 이 외에 도 노천 리에 흥학당(興學堂), 사로당(四老堂), 봉유재(奉裕齋) 가 있다 . 또 한 옥전 리에 는 순흥 안씨 (順興 安氏)의 무첨재(無 훤 齋)가 있 고, 상촌 면에 는 고성 남씨(固 城南氏)의 영모재(永慕齋)가 있어서 세천재와 비교 가된다.이들건축은모두문중을중심으로한사족 의 발전과정에서 지어졌으며 서로 영향관계 또는 경쟁관계 속에서발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축 의 형식과 장식적 특징, 난방 설비를 공유하여 조선 중기이후 향촌사회의 변동과 건축형식의 변화를 추 적하는데중요한사료가될것으로기대된다.위와같 은 결론에 따라 영동 세천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 로지정하는것은당연하다고판단된다. 충주박씨 영동 세천재의 국가보물지정은 또 다른 의미가있는듯하다.그것은후손들의지극한숭조정 신과 효 사상 그리고 투명하고 체계적인 종중운영으 로 타 종중의 모범이 되고 있는 것이다.충과 효는 내 림이다. 영동지역 충주박씨는 대전 충청지역의 명문 가로알려진충주박씨참의공의장남휘효함의후예 이다.청간재(廳澗齋)를 아호로 하고 있는 효함 공은 성품이 청렴 강직하여 처음 근위병(近衛兵)으로 명 성을 날렸고, 해풍 고을을 관장함에 정사를 모두 으 뜸으로펼치고,녹봉(祿俸)외에는취하지않으니청 백함이 명성을 떨쳤다.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 府使)역임하고강릉공파의파조이기도하다.영동황 간입향조휘지(址)는강릉공의장남으로사헌부감 찰과 사복시 주부를 거쳐 영동현감으로 영동에 출수 하여크게치적이있어그사적이영동읍지에실려있 는 휘 원직의 아들 4형제 중 넷째이다. 입향조 휘 지 (址)의 셋째 아들 성건(成楗, 邵村公派)은 영천부사 를 지내고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증직되셨으며 7남 2녀를 두었으니 장남은 통덕랑(通德郞) 휘 이봉(以 鳳)이오,2남은임란의병장(黃義將)휘 이룡(以龍)3 남 휘 이인(以麟)은 증직(贈職)으로 통정대부 중추 부사에올랐으며,4남휘이호(以虎)는무후(无后),5 남은휘이운(以雲)이고,6남휘응훈(應勳)은효자로 정려가내려졌다.7남이란(以鸞)은문행으로크게이 름을떨쳤다. 이 처럼 대대로 충과 효를 이어가며 선조의 유산을 정성껏 지켜온 결과 이번 보물로 지정되었다 할 것이다. 특히 독립운동가 성하식 (成夏植), 이시영(李始榮) 선생의 자취가 서려 있는 곳으로 한국근대사의 중심에 있기도 해 세 천재는 이후에도 지역의 문화를 선도하고 지역의 청소년은 물론 우리나라 청년들의 국가관을 고취 하는유서깊은전당이될것으로기대된다. /자료제공박우숙충주박씨강릉공파종친회장 “충주박씨세천재(歲薦齋)”국가보물 로지정되다 선조 유지를찾아븣 1.입지현황및역사문화환경 세천재전경아래초가집은관리사이다. 원기둥과공포를사용한세천재의 부재하나하나에 아름다 움이베어있다. 대공(대청중앙). 세천재편액. 세천재,창건당시심었던것으로추정되는배롱나무가이색 적이다. 2.연혁ㆍ유래및특징 3.지정가치및종합의견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