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page
114 2025년 9월 순국 Inside 길 따라 얼 따라 순국 역사기행 ② 에 수감되었다. 이 사건으로 이누 가에[犬養] 내각이 총사퇴하고 다 수의 경호 관련자가 문책을 당했 다. 이 의사는 그 해 10월 비공개 재판에서 사형선고를 받고, 10일 이치가야형무소[市谷刑務所]에서 순국하였다. 현재 효창공원의 3 의사 묘역에 안장되어 있다. 윤봉길(1908~1932) 의사는 1930년부터 본격적으로 독립운 동에 투신하기 위해 만주로 망명 하였다가 상하이로 옮겼다. 1932 년에 일본은 중국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승전 축하 기념식을 준 비하고 있었다. 윤의사는 4월 29 일의 천장절(天長節) 겸 전승축하 기념식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이 거사로 일본의 상하이 파견군사 령관 시라카와[白川義則]대장, 상 하이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다 [河端貞次] 등이 치명상을 입은 뒤 사망하였고, 제3함대사령관 노무 라[野村吉三郎] 등이 중상을 입었 다. 윤의사는 바로 체포되어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았 다. 그 해 11월 18일 일본으로 호 송되어 20일 오사카[大阪] 위수형 무소에 수감되었다가 가나자와 [金澤]로 이송되어 12월 19일 새 벽에 순국하였다(총살). 시신은 노 다[野田] 공동묘지에 암매장 되었 으나, 광복 후에 유해가 송환되어 효창공원에 안장되었다. 백정기(白貞基, 1896~1934) 의 사는 1933년 일본 주중공사인 아 리요시[有吉明]가 상하이 훙커우 (虹口)에 있는 일본 요정 육삼정 (六三亭)에서 참모부원들을 위시 한 친일중국정객과 군인 1 00여 명을 초대해 연회를 연다는 소식 을 듣고, 이강훈(李康勳)·원심창 (元心昌) 등과 함께 습격하려 했지 만, 체포되고 말았다. 일본 나가 사키법원[長崎法院]에서 무기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34년에 순국 하였다. 사이토 마코토의 일본에서의 평가 사이토 마코토는 가장 오래 조 선총독을 지냈고, 유일한 2회 재 임이었으며, 그의 흔적을 지금도 국내외에 많이 남겨 놓은 인물이 다. 우리에게는 소위 ‘문화정치’라 는, 허울 뿐인 무단정치의 계승자 라는 평가도 있으나 하세가와와 는 다른 성향의 유연한 일면도 있 ➒ 이봉창 의사가 수감되었던 도요타마형무소터, 지금은 ‘평화의 숲 공원’이 되었다. ➓ 이치가야형무소 터에 세워진 ‘형사자(刑死者) 위령비’. 감옥의 교수대가 있던 곳으로 이봉창의사 순국지이다. ➒ 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