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page

우가키 가즈시게 역시 다른 조선 총독과 마찬가지로 일제 육군의  실력자로 ‘우가키군벌’로 불려질  정도였다. 그는 또한 유능한 정치 인이기도 했다. 식민지 조선을 병 참기지화 하기 위해 군수공업 육 성에 노력했다. 미나미 지로는 역 대 총독 중에서 데라우치 마사다 케, 하세가와 요시미치와 함께 악 명이 높다. 그만큼 식민지 조선에  대해 가혹했다는 의미이다. 미나 미 총독 시기의 주요 정책들은 창 씨개명, 내선일체, 만선일여(滿鮮 一如), 황국신민 서사(誓詞) 강요,  조선교육령 개정, 지원병제도 등  민족말살과 관련된 것들이다. 한국통감과 조선총독의 일본 현장을 가다 ⑩ 제6·7대 조선총독 우가키 가즈시게 미나미 지로 제6대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 1931.6~1936.8)  7대 미나미 지로(南次郞, 1936.8~1942.5) 우가키, ‘대륙병참기지’ 정책 추진 미나미, 창씨개명 강요 민족말살 글  이재범(전 경기대학교 부총장) ‘우가키군벌’을 형성한 실력자 여늬 조선총독과 마찬가지로 우가키 가즈시게도 일제 육군의 실력자로 ‘우가키군벌’로 불려질 정도였다. 그는 또한 유능한 정 치인이기도 했다. 오카야마[岡山] 현 출신. 처음 교원으로 출발하였 으나 직업을 바꾸어 군인이 되었 다. 그는 1880년에 육군사관학교 를 1기로 졸업하고, 육군대학을 거쳐 참모본부원, 독일 주재 무관 을 거쳐 육군성 군무국 군사과장 이 되었다. 참모본부 총무부장, 교 육총감부 본부장, 육군차관을 거 쳐 1924년 기요우라 게이고[淸浦 奎吾] 내각의 육군 대신이 되었다. 이후 가토 다카아키[加藤高明] 내 각과 와카쓰키 레이지로[若槻 礼 次郞] 내각에서도 유임하였다. 다이쇼[大正] 데모크라시 운동 의 군축요구에 대응하여 4개 사 단을 폐지하고(우가키 군축), 그 대신에 군대의 근대화를 추진하 였다. 또 학교교련제도와 청년훈 련소제도를 실시하였다. 1929 년(소화 4) 하마구치 오사치[濱 口雄幸] 내각의 육상이 되고, 육 군 내에 ‘우가키군벌’을 형성하여 1931년의 ‘3월사건’(우가키를 총 리로 만들고자 한 젊은 장교들의 쿠데타)에 관련이 있었다. 이 해에 조선총독이 되었고, 1931년 9월 의 ‘만주사변(일본군의 중국동북 침략사건)’에서 일본 관동군(關東 軍)의 행동을 지지하였다. 식민지 조선을 병참기지화 하 순국 Inside  길 따라 얼 따라 순국 역사기행 ② 108 2025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