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page

순국 역사기행 ➊ • 서울, 독립운동과 역사의 현장을 가다 ㉕ 107 의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선거 직전 미국에서 사망하였다. 손기정체육공원과 손기정기념 관, 그리고 양정고보의 독립운동 만리동에는 1936년 베를린올 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딴 손 기정을 기리는 손기정체육공원 과 손기정기념관이 있다. 이곳은 손기정이 졸업한 양정고보(현 양 정고)가 있던 자리이다. 양정고가 1988년에 목동으로 이전하면서 그 자리에 손기정체육공원과 기 념관이 조성된 것이다. 양정 출신 독립운동가 중에는 양정의숙 시절의 박상진(1884~ 1921)과 안희제(1885~1943)가 유명하다. 박상진은 1915년 대구 에서 조선국권회복단을 결성하 여 활동하였고, 1918년에는 대한 광복단과 대한광복회로 통합하여 총사령을 맡았다. 안희제는 백산 상회와 백산무역(주)을 독립운동 의 연락 기관으로 삼아 활동하였 는데, 1909년에 결성한 대동청년 당은 8·15 광복 때까지도 그 실체 가 발각되지 않은 독립운동 비밀 결사였다. 양정고보 학생들은 3·1운동 과 6·10만세운동, 광주학생독립 운동의 한복판에 있었다. 특히 광주학생독립운동 때는 한유섭 (1911~1931, 조선학생과학연구 회 교양부)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 는데, 이 과정에서 11명의 학생이 퇴학을 당했다. 양정고보 학생들 은 광주학생독립운동 때는 물론 이고 식민지 노예교육에 맞선 동 맹휴학을 여러 차례 벌였다. 1895년 관립정동소학교로 개교 한 서울봉래초등학교 손기정체육공원 옆에 있는 서 울봉래초등학교는 1895년 관립 ➐ ➐  조병옥 집터(지금은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가 들어서 있다) ➑  베를린올림픽(1936년 8월) 시상식 장면을 형상화한 손기정 동상(손기정체육공원)  ➒  1919년 3월 24일 거행된 정동공립보통학교 졸업식에서 독립 만세 소리가 울려퍼졌 다(1919.3.26, 『매일신보』 기사). ➑ 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