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page
- 100 - 1946년, 10월 16일 전남 해남군 산삼면 봉학리 535번지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964년 광주제일고에 입학했으나 이듬해 자퇴했고, 1969년 대입 검정고시를 거쳐 전남 대 영문과에 입학했다. 1972년 유신헌법이 선포되자 이강(李綱) 등과 전국 최초로 반(反) 유신, 반(反)파쇼 지하신문인 《함성》을 제작했다. 《함성》지는 주로 유신독재에 대한 고발 을 주제로 다뤘고 후에는 전국적으로신문을 확산시키고자 《고발》로 명칭을 바꾸기도 했다. 이로 인해 1973년에 반공법 위반으로 구속되어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는 다. 8개월 만에 출소했지만, 이 사건으로 전남대에서 제적당한다. 출소 후 해남으로 낙향 하여 잠시 농업에 종사하는 중에 《창작과 비평》지에 《진혼가》, 《잿더미》 등 7편의 시를 발표했으며, 1975년에는 광주로 올라와 사회과학서점인 '카프카'를 개설했다. 1978년에 상경하여 남조선 민족해방 전선 준비위원회(남민전)에 가입, 활동하다가 1979년 서울에서 체포되어 구속됐다. 이듬해에 이 사건으로 광주교도소에 수감 된다. 1979년 남민전 사건으로 15년 형 선고를 받고 9년째 복역 중 1988년 12월 가석방으 로 출옥하였다. 1991년 신동엽(申東曄) 창작기금을 수상하였다. 작자는 고은(高銀)·신경림 (申庚林)·김지하(金芝河)·박노해, 백무산 등과 더불어1980년대 민족문학의 기수로 평가된다. 그의 시는 80년대 정치적인 탄압 때문에 잡지나 시집으로 나오기 전에 지하 출판물을 통해 독자들에게 더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던 특이한 시인이다. 김남주는 그의 시 「시인이여」에서 암흑의 시대 시인의 일은 ‘침묵, 관망, 도피나 밑이 없는 한의 바다의 넋두리가 아니라 박해의 시대 가위눌린 악몽으로부터 잠든 마음을 깨우고 참을 일으켜 세워 둥둥둥 북소리와 함게 나가게 하는 것, 전투의 나팔소리, 압제 자의 가슴에 꽂는 창’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의 말처럼 그의 시는 이 땅의 독재와 싸우는 무기였고 한편으로 자기 자신과 일상에 안주하여 부정과 불의를 눈감으려는 소시민적 태도에 가해진 날카로운 채찍이었다. 그의 시는 외세에 의한 분단과 외세 의존적인 정치 권력에 의한 민중의 억압과 착취, 그리고 그에 대한 저항을 주제로 한다. 이 점에서 1960년대 신동엽, 1980년대 민중시인 들과 현실인식을 같이한다. 그러나 기법이나 호흡, 특히 외부 세계에 대해서 강렬한 비판을 보여주는 동시에 자신 의 내부의 적에 대한 비판과 폭로를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역설적인 저항의 모습을 보 여 준다는 점에서는 김수영(金洙暎)의 시와 유사한 면을 많이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