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page


100page

1919년 4월 12일의 장유면 무계리에서 전개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였다. 이곳의 독립만세운동은 광무황제의 국장에 참여하기 위하여 상경하였다가, 그곳에서 전개된 독립선언식과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고 독립선언서를 가지고 귀향한 김종훤을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그는 4월 11일 김종훤·조순규·이강석·최현호 등과 만나 이튿날 무계리 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고, 각자 자기 동리사람들의 동원과 태극기의 제작을 책임, 분담하였다. 그는 4월 12일, 그의 동리사람 50여명을 동원하여 그 선두에 서서 태극기를 들고 무계리 장터로 행진하였다. 다른 동리사람들은 북을 치고 나팔을 불며 그의 뒤를 따랐다. 이를 시발로 다른 동리에서도 주동자를 선두로 하여 장터에 모여들어 시위군중은 3천여명이나 되었다. 이때 그는 3천여명의 시위군중의 선두에 서서 시위행진을 하였다. 이같은 급보를 받은 일본군경이 출동하여 무력을 행사하며 해산시키기에 안감힘을 썼다. 시위군중은 이에 굴하지 않고 헌병주재소를 습격하였으며, 당황한 일본 헌병의 무차별 사격으로 김선오 등 3명이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일시 후퇴했던 그는 비분함을 참지 못하고 다시 주재소로 달려가 투석과 몽둥이로 주재소를 파괴하고 헌병 상등병과 보조원을 때려눕히며 격렬한 시위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김해읍에서 응원 출동한 일본 군경의 발포로 말미암아 시위대열은 일단 해산하였다. 그는 그후 일제의 검속으로 체포되었으며, 이해 6월 5일 부산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출처 : 보훈처 공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