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page
2017년9월30일 토요일 10 (제129호) 종합 사문진사공이하 선조님의 재사(齋舍)이다. 삼송 재주변(묘역)에는세그루의소나무가있다.정재선 생의 평일 행세의 바름에 감응되어 생긴 것으로 그 수는 윤리의 한 그루와 남전의 두 그루를 합한 것으 로그절개는진시황이봉한대부(大夫)송(松)을비 웃을것이라하였다.남전의두소나무(雙松)는세속 의번거로움이선지에스며들까하여오히려단교(斷 橋)를 다행으로 여기는 심사가 있다. 하여 정재선생 의충절과곧은선비정신을비유한것으로보인다. 남전(藍田)은 중국(中國) 섬서성(陝西省) 서안시 (西安市) 동남방에 있는 현(縣)의 이름으로 강 건너 두그루의소나무가있어빼어난경치를자랑수많은 석학들이그소나무를비유하며많은시문을남겼다. 사문진사공(四門進士公派)의휘(諱)는원(元)으로고 려조에 사문진사 또는 국자진사를 역임했다. 밀성대군 (密城大君휘 언침)의 10世支孫(시조 39世孫)으로 太師 公彦孚의둘째아들諱義臣의長子다.父(義臣)는문하시 중효신(孝臣)의동생으로당대의文章家로공부상서(工 部尙書)를지내셨으며,고려인종은효신,의신양형제를 효의양신(孝義兩臣) 고려주석(高麗株石)이라 부르고 동방대성(東方大姓)이란어필넉자를하사하였다. 유지는밀양시하남읍귀명동이라하나전하지아니한 다.배위는계림김씨이며원덕사에배향하였고전북김제 시상동(삼수동)에삼송재가있어설단하여제향한다. 삼송재 주변에는 사문진사공을 비롯 아드님 휘 교연 (皎然), 손자 휘 기보(奇輔), 증손 휘 홍승(洪昇), 현손 휘 함( ),5대손 정승공 휘 화(華),6代孫 휘 인기(仁 杞)의단소와간의대부공휘인익,정재공휘의중의묘 소와 이하 선조님 단소 등이 있다. 간의대부공 휘 인기 (仁杞)는 고려 때 판도총랑(版圖摠郞)과 용궁현감(龍 宮縣監), 좌우위산원(左右衛散員)을 역임하였다. 고려 말어지러운정치를피하여차자휘길(桔)과함께관북 (함경북도일대)영흥에들어가유유자적하였다. 정재공 휘 의중(宜中)은 두문동 72현의 한분으로 불사이군의 충절을 지켰다. 초휘(初諱)는 실(實),字 는 자허(子虛)요, 諡號는 문경공(文敬公), 아호(雅 號)는 정재(貞齋)이다. 고려 충숙왕 복위(復位) 6년 丁丑(1337)에 태어나 공민왕 4年 乙未(1355)에 이색 (李穡)등22人과같이박학굉사과(博學宏詞科)에 합 격하시고 서녕군(瑞寧君) 류숙(柳淑) 초은(樵隱) 이 인복(李仁復) 두분 선생문하에 종유(從遊)하여 성리 학에 더욱 정진하였다. 공민왕 11년 壬寅(1362) 10月 에 문과장원으로 발탁되시어 벼슬이 전의 직장 헌납 사예를거쳐예문관제학을역임하였다.이때공민왕1 6年 丁未(1367)년 성균관이 재건되어 이색(李穡)이 大司成이되어경학에통달한정몽주(鄭夢周)김구용 (金九容)박상충(朴尙衷)박의중(朴宜中)이숭인(李 崇仁)등에게 성균관 교관을 겸직(兼職)시키었다.그 때 儒生들의 경학질의(經學質疑)에 對하여 정밀하고 소상한해답은정재先生이으뜸이었다고한다. 고려 우왕(禑)14년 戊辰(1388)5月에 先生이 國書 인 철영위 철폐(鐵嶺衛 撤廢)에 관한 진정전(陳情 箋)을받들고명나라에들어갈때행장(行裝)이검소 하여 요동진무(遼東鎭撫) 서현이 先生의 청고함에 감복하여 이 사실을 예부(禮部)에 告하니 황제는 듣 고 국빈례(國賓禮)로 대우하고 철령위문제(鐵嶺衛 問題)를 잠재웠다. 이를 두고 陽村 권근(權近) 先生 은 先生을 祭祀하는 글에 봉사위난(奉使危難) 악절 불투(握節不 ) 승수제칙(承受帝勅) 복아판도 (復我版圖) 철령이북(鐵嶺以北) 위국오구(爲國졸 區) 공대불벌(功大不伐) 안어퇴휴(安於退休)라.(나 라가위급할때사신으로가서절개를더럽히지않았 으며 황제 칙서를 받들어 우리나라에 판도를 회복하 여 철령이북은 나라의 요지로다 공로가 크고 중해도 자랑하지 않고 나아가고 물러감을 편하게 하셨도다) 하였고 大司成 김복한(金福漢)이 撰한 신도비명에서 수침철령립위의(遂寢鐵嶺立衛議)하고 려조봉강지 득완(麗朝封彊之得完)은 선생지력야(先生之力也) 라.(드디어 철령위 세우는 일을 그만두게 하고 고려 의강토를완전하게함은선생의힘이라하였다)하였 으며 星湖 이익(李瀷)先生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 「忠臣忠臣이여 박의중(朴宜中) 先生이 아니었다면 고려의령토가어찌완전하였으랴」라고적었다. 고려 允王 元年 己巳(1389)에 추성보조공신(推誠 補祚功臣)으로 책봉되었고, 고려 간성왕(杆城王) 二 年庚午(1390)正月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겸동 지경연사(同知經筵事종2품)가되었다. 후에예문관 제학겸성균관대사성에임명되었다가곧이성계(李 成桂)의혁명으로고려는망하고이씨혁정당시(李氏 革正當時)즉1392年10月에杜門洞에들어갔다가지 병이 있어 숙부인 간의대부公(仁翊)과 더불어 전라 북도 김제로 퇴둔하여 후학을 가르치시며 두문자정 (杜門自靖) 하니 조선조 태종이 사방으로 찾아 검교 참찬의정부사(檢校參贊議政府事)로여러번불렀으 나 끝내 나아가지 않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忠節 을 지켰다.뿐만 아니라 성리학에 박통(博通)한 대학 자로 문장이우아하였고,예학에도밝아서 일찍이이 색(李穡) 정몽주(鄭夢周) 김구용(金九容) 안로생 (安魯生)과 같이 명망이 떨쳤으니 그 사실이 화해사 전(華海師全) 사전계사(師全繼辭)에 실려 있으며, 당시의 강학지소가 김제시 흥복동에 여러번의 중수 를거쳐지금도자리하고있다.두문동서원(杜門洞書 院)과 경북 비안의 구천서원(龜川書院)에 배향(配 享) 되었으나 지금은 훼철되어서 없고, 해주 송현사 (海州 松峴祠), 장성 경현사(長城 景賢祠), 파주 고 려통일대전 충신각에배향되어있다. 밀원문화연구회와함께한유적탐방 삼송재전경.(전북 김제시상동동232-6번지) 삼송재주변묘역및단소세계도. ●삼송재(三松齋)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정읍시 흑암동 현암마을 (俗稱 검은바 위)에 밀성박씨 행산공파, 소감파 일족이 누대(累代)에걸쳐집성촌을이루고있다. 행산공의 차자이신 문익(文翊-小監公)은 고려 공민왕조 관직이 소감(小監)이었으며 무관으로서 기병과 보병을 합친 군대를 총괄 하는 직책으로 전라도 전주부에 주둔하였으 며 소감공(小監公)께서 전라도에 주둔하고 있을때에국가정황은이성계가역성혁명(易 姓革命-西紀1392年)을일으켜정권이바뀌고 있는시점이며소감공은포은정몽주선생계 열로써 부친인 세균(杏山公)과 백형 문빈(桃 隱公)과함께삼부자가절개를지키며조선창 건에참여하지않고정변의화를입은것이다. 정변의 화를 당하는 과정에서 행산공의 손자 이고 소감공의 장자이신 신좌(臣佐-小尹公) 한성소윤(韓成小尹)께서전라도태인군옥박 동(현재정읍시옹동면산성리)으로(現在玄 岩文中) 차자 신필(臣弼-鎭士公) 은 경상도 고령군으로이주하였다.(現在高靈文中) 옥박동(俗稱 옥박골)에 정착 후 수대 영거 하다가 임진왜란을 당하여 강원도 및 전라도 장성군 등을 전전피난 끝에 행산공의 제10세 손정민(挺珉,字.汝珍號.靑岩)이고부군금정 촌(현재정읍시용계동정문마을어귀덕고개 에있었으나폐촌되었다고함)에정착하였다. 행산공 제10세손 정민(挺珉)의 아들 재(載 -玄岩公)은 금정촌에서 선조 38년 서기1606 年) 乙巳年에 출생하셨고 현암공은 장자 세 유(世維),차자세경(世經),삼자세위(世緯) 三兄弟를두셨으며우암송시열先生과도의 및 종유하면서 차자 세경(斗南公)을 우암선 생의문하생으로 우암선생유배지까지 동유 하면서 학문과 경륜을 닦았다고 한다 . 행산공제11세손현 암공재(載)께서는금정 촌 재 넘어 현재의 흑암동(上,下黑)이라는 곳 에터전을마련하고삼형제로하여금자손대대 로번성할수있는기초를닦았으며터를잡은 마을터에 검은 바위가 있으며 마을 우물에도 검은 바위의 간수 등을 보고 우암선생께서 현 암촌이라하고재(載)에게현암(玄岩)이라는 號를지어주심으로서검은바위(玄岩)마을에 현암공 일족이 번성하게 된 것이고 차자 세경 (世經, 斗南公)은 고부 두승산 남쪽이라는 연 유로號를두남(斗南)으로하였다한다. 이후 현암 문중의 후손들은 누대에 걸쳐 고 위직을이어왔으며행산공17세손두원(斗元- 戶判公)의 손자이면서 현암공 9세손인 창암 만환(蒼岩晩煥,字.景瑞 西紀1849~1926年, 父- 원휴原休)의子이며행산공19세손)공(公)께 서는간재전우,연재송병선,심석송병순 ,우당 김용승,지은최전구등교우와종유하여학문 과 도의가 세상에 추앙하는바 되었고, 과거시 험(西紀1881年,(32세)을거쳐통정대부의금부 도사 행 삼례도찰방(西紀1886~1890年,37세~41 세)직을 역임하시고 영광군수직을 명받았으 나 사양하시고 낙향 54세에 영주정사(瀛州精 舍-西紀1903年)와60세에영양사(瀛陽祠-西紀 1909年)를 創建하여 영주정사에 고서 일만권 및 고서목판을 보유하고 후학을 양성하였다. (冊을發刊하여無料支給學習하였음) 영양사에는 기자 및 중국의 오성(五聖-孔 夫子,孟子,曾子,顔子,子思) 육현(六賢-程伊 川,程明道,邵康節,周濂溪,朱子,張橫渠)의 초 상영정(人物畵家 崔容辛 作品)을 봉안한 사 당으로향사하였으며,영주정사및영양사는 대한민국문화재관리청제212호로등록된문 화재이고 서기2008年 영양사는 1次補修 하 였으며간재전우,연재송병선,심석송병순 석촌尹容優등유학자의친필현판이판각보 존 되고 있으며, 위 선생들의 친필서찰 및 현 판원본(瀛州精舍 百千齋 淸諷軒 瀛楊祠) 또 는 존화계첩(尊華契帖-艮齋 外 儒學者265名 의 名簿), 간재선생의 함훈재강회도(銜訓齋 講繪圖) 삼례도체등중기(參禮道遞登重記- 引受引繼書) 영주정사상량문(田艮齋 書) 여 사서언해(女四書諺解) 도청집(陶請集) 주 역 대학 중용 서전 기타 많은 자료를 杏山公 2 1세손 송하 용호(松下 龍鎬)의 차자 창운 박 철(蒼雲朴哲)이소장관리하고있다. 밀성박씨 현암문중은 정읍에 뿌리 내린지 500여년 동 안 지역사회나 국가에 크게 공헌 한것은없지만대대로농사를지으면서자손 들이 번성하였으며 영주정사와 같은 강당을 마련하여후학양성에힘을기울이고숭조,충 효사상과 미풍양속을 지키려고 노력하여 왔 고지금은이시대의흐름에따라전국각지에 흩어져살면서선교자손과국가후손들발전 에이바지하고있으며선대의유훈을받들어 문중에동속이되려고노력하고있다. ●밀성박씨 정읍시흑암동현암문중과 영주정사 영주정사.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흑암동(현 암)215-1번지 노양서원은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선 생이숙종(肅宗)15년(1689년)에정읍에서사약 (賜藥)으로 사사(賜死) 당한 후 숙종(肅宗) 19 년(1693년)에 고암서원(考巖書院)을 창건하여 175년간 향사(享祀)하여 오던 중 고종(高宗) 5 년(1868년)에 대원군(大院君)의 서원철폐령 (書院撤廢令)으로 당초의 사우(祠宇) 및 서원 (書院)이철폐되였다.철폐된지85년후인1953 년에유림(儒林)들의발의추진(發議推進)으로 성균관(成均館)과호남(湖南)의향교(鄕校)들 의 결집(結集)하여 서원(書院)을 창건하고 우 암(尤菴)송시열(宋時烈)선생을주벽(主壁)으 로 위패(位牌)와 영정(影幀)을,두남(斗南) 박 세경(朴世經)선생의위패(位牌)를봉안하여노 양서원(魯陽書院)이라 하고 매년 음력(陰曆)3 월1일에 향사(享祀)하여오다가 2002년에 유림 (儒林)들의발의로성균관(成均館)을비롯하여 호남사대향교(湖南四大鄕校)와全羅北道24개 향교(鄕校)의 협의로 현암공(玄巖公)박 재(朴 載)선생을 추배향(推配享)으로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하여향사(享祀)하고있다. 현암(玄巖) 박 재(朴 載)선생은 밀성대 군(密城大君) 24세 행산공(杏山公) 11세 로 자(字),이후(以厚) 호(號),현암(玄巖) 이며 선조(宣祖) 38년(1605년)에 고부 금 정촌 (古阜 金井村)<현재 정읍시 용계동 정문마을> 에서 부휘(父諱) 정민(廷 珉)의 자(子)로 출생(出 生)하였다, 송 우 암 ( 宋 尤 菴 ) 선 생 과 종유(從遊)하며 수학(受 學)하여학문(學文)이지고 (至高)하고 지덕(知德)하 여 가지위성덕군자(可知爲 成德君子)라 일컬었다. 슬 하에세유(世維)세경(世經) 세위(世緯)등 세 아들을 두었으며 이중 차자 (次子)인 세경(世經)을 송우암(宋尤巖)선생 문하생(門下生)으로 입문시킴으로서 부자 (父子)가 일사일문동출(一師一門同出) 하게 되었고송선생(宋先生)이현암(玄巖)이라는 호(號)를 지어주셨다, 송우암(宋尤菴)선생 서사현암이자(書賜玄巖二字) 박세경(朴世 經)선생은 현암공(玄巖公)의 차자(次子)로 서 자(字) 제이(齊而) 호(號)는 두남(斗南) 이며 인조(仁祖) 4年(1626년)에 고부(古阜) 금정촌(金井村)에서 태어났으며 조선(朝 鮮)중기(中期)대학자(大學者)이시다. 열 살 때에 능히 글을 지은 수재(秀才)로 유명하였고 열다섯에 송우암(宋尤菴)선생 의문하(門下)에들어가성리학(性理學)에 전심하였으며 송우암(宋尤菴)선생이 남, 북(南,北)으로 유배(流配)될 때에도 같이 수행하여 대소사를 보살폈고,송우암(宋尤 菴)선생께서 <성현(聖賢) 되는데 가능하 지 않는 것이 없다,(위성위현 爲聖爲賢 하 소불가何所不可)>라며칭찬하셨다. 심성정삼영(心性情三詠)과 심설,경설 (心說,敬說)등 2편은 아무도 언급한바 없는 탁견(卓見)으로서 전간재(田艮齋)선생도 학문을 논할 때 삼영(三詠)을 이야기 했다 고한다,두남공(斗南公)박세경(朴世經)선 생의 행장(行狀)은 우당(尤堂) 김용승(金 容承) 先生,묘표(墓表)는 강재(剛齋) 송치 규(宋穉圭)선생, 유허비(遺墟碑) 찬(撰)은 단운(丹雲) 민병승(閔丙承)선생, 문집서문 (文集序文) 찬(撰)은 금재(欽齋) 최병심 (崔炳心)선생께서 하셨다,(삼형제분 시집 을추후발간(推後發刊)예정임) ●노양서원(魯陽書院)과현암사(玄巖祠) 노양서원강당.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욾 사적 제242호. 하서 김인후(金麟厚)를 기리기위해건립했다. 1590년(선조 23) 김인후의 문인 변성온 등이주도하여기산리에서원을세웠는데, 이 서원은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1624 년(인조 4) 복원되었다. 1662년(현종 3) ' 필암'으로 사액되었으며 1672년 지금의 위치로이전했다. 1786년 양자징(梁子 零)을 추가 배향했 다. 대원군의 서원철폐 때 남은 47개 서원 중 하나이다. 이 서원에 소장된 문서들은 보물 587호로 일괄 지정되어 있는데 총15 책 65장의 필사본들로 고문서류이다. 이 자료들은 필암서원의 임원, 원생, 조선 후 기 서원의 재정과 노비 소유, 서원의 운영 사항과 지방관청 및 유림사회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지역의 인재들 의 양성소로 필암학당은 노강 박래호 선 생의 경서강의가 이어지고 있어 전북대학 교학생들이청강하고있다. ●필암서원(筆巖書院) 조선시대 황희,맹사성과 함께 3대 청백리 로 꼽히는 아곡 박수량 선생의 묘소앞에 세워진비석이다. 아곡 박수량 선생은 승지공(承旨公) 휘 종원(宗元)의 4남1녀 중 차남으로 자는 君遂(군수) 호는 莪谷(아곡)으로 38년간 한성부판윤, 전라도관찰사, 호·형·예·공 조 판 서 등 주 요 벼 슬 길 에 집 한 칸 이 없 는 가난한 청백리로 시호는 貞惠公(정혜공) 이다. 1554년 1월 19일 향년 64세의 나이로 별세 하자 부음을 들은 명종 임금은 아곡 선생 의 죽음을 애석히 여겨 이틀간이나 조회 를 멈추기까지 하였고, 예관(禮官)을 보 내 영전에 조사(弔辭)를 올리도록 하였 다. 임금은 조사에서 안으로는 많은 학덕 을 지녔으면서도 밖으로는 항상 부족한 것처럼 했으며 가정에는 한줌의 곡식도 없었으니 경의 죽음이 더욱 아깝고 애석 하다고하였다. 그리고 임금은 유사(有司)에게 명을 내려 장례(葬禮)를 후(厚)하게 구원(救援)하 도록 하고 서해바다 돌을 골라 비(碑)를 하사하셨는데 비문을 세기다가 청백리인 선생에게 자칫 누를 끼칠까봐 비문이 없 는 돌 을 묘 앞 에 세 우 게 해 , 白 碑 (백 비 ,전 라남도 기념물제198호)는 선생의 청백리 정신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전국의 고 위공직자와 국영기업체 직원 등 국내외 공직자들이 청백리 정신을 본받기 위해 줄을잇고있다. ●백비 청금재는영동정공후무숙공박진영장군의 재사(齋舍)이다.재실 뒤편에는 무숙공의 부조 묘가있고측면에는무숙공유물전시실이있다. 무숙공은임진왜란에백의로창의한동천공 (휘오)의아들이다.1594년무과에급제하고권 율장군휘하에서종군하는등선무원종2등공 신으로책록되었으며,1599년용궁현감으로출 사하여조선의서북방을방어하는무장으로활 동하였다.1624년평산도호부사겸황해도방어 사재임시이괄의난이일어나아들유룡,임룡 과난을진압하는데공을세워삼부자(三父子) 가진무원종1등공신으로책록되었다. 이후 낙향하여 강학(講學)과 후학 양성에 전념하였고, 1626년 병조참판에 제수되었으 나나가지않았으며,1636년병자호란에69의 노구(老軀)에도 불구하고 향병을 모집하여 남한산성으로 향하던중 화의가 성립되었다 는 소식을 듣고 말(馬)에서 떨어져 비분통곡 하고 귀환하여 1641년 73세의 일기로 세상을 마쳤다.1644년자헌대부호조판서겸지의금 부사, 1649년 숭정대부 판돈녕부사 겸 오위도 총부 도총관에 증직되 고, 1871년 무숙(武肅) 의 시호가 내려지고 국 불천위를 하사하였다. 이때에 7세손 만성공 (휘 치복)이 선조의 유 고를 모아 광서실기를 편찬하였으며, 1880년 삼황대보단(三皇大報 壇)에배향케하였다. ●청금재와무숙공박진영장군 청금재.경남함안군산인면내인리.①무숙공부조묘②청금재③유물전시관. CMYK